논문 상세보기

Korea’s Changing Foreign Worker Policy and the Future of Occupa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 등재

한국의 외국인 근로자 정책 변화에 따른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변화와 한국어교육의 과제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외국인 근로자 정책 변화에 따라 형성·변화된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군의 특성을 정책적 맥락 속에서 구조적으로 분석하 고, 그에 따라 한국어교육이 정책 내에서 어떠한 위상을 갖는지를 고찰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한국은 단기 비전문 인력 중심의 고용에서 숙련 인력의 장기 체류 및 정주를 유도하는 정책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고용허가제 개편, 숙련기능 점수제 확대, 지역특화형 비자 제도 도입 등 이 이러한 흐름을 보여준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체류 자격, 산업군, 언 어 요구 수준 등에서 한국 내 한국어 학습자군의 구조를 변화시키며, 이 에 따라 한국어교육이 제도 안에서 갖는 의미와 기능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 정책 변화가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 왔는지를 고찰하고, 현 시점에서 한국어교육 이 한국 내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정책과 연계하여 어떻게 정의하 고 대응할 것인지 각 시기의 정책을 한국어교육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분 석하였다. 이를 통해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에 정책이 미치는 영향을 명 확히 하고, 정책과 연계하여 향후 교육적 실천이 나아가야 할 기반을 마 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formed through changes in South Korea’s foreign workforce policies and examines the ro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in these policy frameworks. As Korea shifts from short-term employment of low-skilled workers to long-term settlement of skilled laborers, policies such as the restructured Employment Permit System, expansion of the E-7-4 Skilled Points System, and regional visa programs have altered visa types, industries, and language needs. These shifts have reshaped learner demographics and the fun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se transformations and offers implications for alig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policy developments.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Changes and Current Status of Learners in Occupational-Purpose Korean Language Education
    1. Historical Shifts in Occupational-Purpose Korean LanguageLearners in Korea
    2. Composition and Current Status of Occupational-PurposeKorean Language Learners
III. Policy Shifts Concerning Foreign Workers andTheir Linkage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for Occupational Purposes
    1. Development of Skilled Foreign Labor
    2. Encouraging the Long-Term Settlement of Foreign Residents
    3. Expansion of Employment Sectors for Foreign Workers
IV. Directions and Challenges for the Advancement ofOccupational-Purpose Korean Language Education
    1. Classification of Learner Subgroups and Establishmentof an Educational Framework
    2. Stratifica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Developmentof Industry-Specific Content
    3.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 Development Based onLearner Characteristics
V. Conclusion

<논문요약>
저자
  • Son Hye Jin(Seojeong University) | 손혜진 (서정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