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퍼비전 환경에서 수퍼바이지 코치들이 인식하는 심리적 안전감 의 촉진 요인과 저해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개념도 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구 조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최근 5년 이내 수퍼비전 경험이 있으며 KSC, PCC 등의 코치 자격을 보유한 수퍼바이지 코치 1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집단 면접과 개인 면접을 병행하여 총 80개의 진술문(촉진 요인 40개, 저해 요인 40개)을 도출하였으며, 위계적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분 석을 통해 2차원 축과 6개 군집으로 구성된 개념도를 생성하였다. 촉진 요인은 ‘성찰–실천’과 ‘관계–성장’의 두 차원을 기준으로 구성되었으며, 이에 따라 여 섯 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대표적 군집으로는 ‘실행 중심 코칭 전문성 향상’, ‘가 치 기반 코칭 정체성 강화’ 등이 포함되었다. 저해 요인은 ‘체계성–자율성’과 ‘안정–성장’이라는 두 차원에서 6개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대표적으로 ‘피드백 부족과 자신감 저하’, ‘협력 부재와 실천 기반 약화’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코 칭 수퍼비전 환경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촉진·저해 요인을 시각적으로 구조화함 으로써, 코칭 실천과 수퍼비전 설계에 활용 가능한 전략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systematically structure the factors that promote or inhibit psychological safety as perceived by supervisee coaches in the context of coaching supervision, using concept mapping. Twelve certified supervisee coaches (KSC, PCC) with supervision experience in the past five years participated. Through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80 statements (40 promotive, 40 inhibitive) were collected. Concept maps were develop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sulting in two-dimensional structures with six clusters each. Promotive factors were organized along “Reflection–Practice” and “Relationship–Growth” dimensions, including clusters such as Enhancement of Practice-Based Coaching Competence and Strengthening of Value-Based Coaching Identity. Inhibitive factors were mapped onto “Systematicity– Autonomy” and “Stability–Growth” dimensions, with clusters such as Lack of Feedback and Confidence and Weakened Practice Due to Lack of Collaboration. This study provides a structured framework for understanding psychological safety in coaching supervision and offers strategic foundations for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supervision design and coach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