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KCI 등재

Effects of Remote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and Muscle Activ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in the Community: A Pilot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3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원격동작관찰훈련이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2023년 8월부터 2024년 2월까지 대전광역시 소재의 재활병원에서 외래재활을 받지 않고 다른 기관에서도 치료를 계획하지 않은 대상자 6명을 실험군으로, 병원 내에서 외래재활치료를 받는 대상자 5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군은 원격재활을 기반으로 한 원격동작관찰훈련을 하였고, 대조군은 실험군과 동일한 과제를 수행하는 외래재활치료를 진행하였다. 치료에 대한 중재는 1일 1회 30분, 주 3회, 총 4주간 실시하였고, 치료 중재 전과 후의 상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ARAT 평가척도(Action Research Arm Test)와 MFT 평가척도(Manual Function Test)를 사용하였고, 근 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활성도 평가척도인 sEMG (Surface Electromyography)를 사용하였다. 결과 : 두 집단 각각의 중재 전과 후 결과 상지기능과 근 활성도 일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중재 후 두 집단 간에서는 상지기능과 근 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결론 : 본 연구에서의 결과로 원격동작관찰훈련이 지역사회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외래재활치료와 유사하게 기능 향상을 시킬 수 있는 중재방법이자, 접근성과 경제적인 이점이 있어 지역사회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mote motion observation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and muscle activity in community-based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Six participants who did not receive outpatient rehabilitation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five participants who received outpatient rehabilitation were included in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30 min a day,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Upper limb function was measured using the Action Research Arm Test (ARAT) and Manual Function Test (MFT) scales, and muscle activity was assess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Resul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upper limb function and muscle activity (p < .05). However, after the interven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p < .05). Conclusion: Remote action observation training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function in community-based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similar to outpatient rehabilitation therapy. Additionally, it offers accessibility and economic benefits to patient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3. 연구 도구
    4. 중재 방법
    5.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정
    2. 상지기능 및 상지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
Abstract
저자
  • 진민성(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작업치료학 전공, 작업치료사) | Jin Min-Seo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Medical Science, Chungju University, Occupational Therapist)
  • 박주형(청주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 Park Ju-Hy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and Medical Sciences, Chungju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