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부모 매개 중재(Parent-mediated intevention)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KCI 등재

A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Parent-Mediated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3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부모 매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부모 매개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015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 검색은 PubMed, MEDLINE, PsycINFO, Web of Science, ProQuest, Google Scholar 등 주요 국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체계적으로 수행되었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12편의 논문에 대해 Cochrane의 Risk of Bias 2를 활용하여 연구의 질을 평가하고,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효과 크기 산출, 이질성 분석, 출판 편의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메타분석 결과,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에서는 중간 수준의 효과 크기가 나타났으며, 자폐증상, 적응행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에서는 작은 효과 크기가 확인되었다. 언어기능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포함된 연구 간 이질성은 낮았으며, 출판 편의의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 매개 중재를 실시한 결과 자폐증상이 감소,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향상, 적응행동 향상, 부모 양육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조기중재 및 가족 중심 중재 확립에 있어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며, 향후 임상 및 정책 현장에서 부모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effectiveness of parent-mediated intervention (PMI) program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analyze their effect sizes on key developmental domains, including autism symptoms, social interaction skills, adaptive behavior, language abilities, and parental stress, through a meta-analysis. Methods: Literature published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24 was searched in PubMed, MEDLINE, PsycINFO, Web of Science, ProQuest,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Twelve eligible studies were selected, and the quality of each study was assessed using the Cochrane Risk of Bias 2 tool. The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 software, examining effect sizes, heterogeneity, and publication bias. Results: The meta-analysis revealed a moderate effect size for social interaction skills and small effect sizes for autism symptoms, adaptive behavior, and parental stress. No significant effects on language ability were observed. Low heterogeneity was observed across studies, and no evidence of publication bias was detected. Conclusion: Parent-mediated interventions were found to reduce autism symptoms, improve social interaction skills and adaptive behavior, and alleviate parental stress in children with ASD.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application of PMI in early intervention and family-centered models in Korea and can serve as a foundational reference for developing clinical programs aimed at enhancing parental competence in future practice and policy.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2. 논문의 선정 기준
    3. 비뚤림 위험 평가
    4. 데이터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분석 대상 연구의 일반적 특성
    2. 부모 매개 중재에 사용된 프로그램
    3. 비뚤림 위험 평가
    4. 부모 매개 중재 프로그램 효과 크기
    5. 출판 편의 검정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기웅(이오아동발달센터 작업치료사) | Kim Kiwoong (Enabling Occupation center for child development)
  • 유은영(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Yoo Eun-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oftware and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Yonsei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