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대 여성의 럭셔리 가방에 대한 감성반응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Emotional Response of Women in their 20s to Luxury Ba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332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가방은 단지 소지품을 넣기 위한 기능적 도구를 넘어, 공간성을 지닌 조형물로 발전하며, 과시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20대 여성 소비층이 빠르게 확장됨에 따라, 본 연구는 럭셔리 가방 디자인이 20대 여성의 감성반응에 미치는 정량적 기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Gucci, Dior, Chanel, Louis Vuitton, Hermes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50개의 가방 이미지와 21개의 감성어휘를 통해, 럭셔리 가방 디자인과 감성반응 간의 상관관계를 수량화이론 III 류 및 I 류를 통해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수량화이론 III 류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현재 시판 중인 럭셔리 가방의 감성 반응 공간은 ‘화려한’과 ‘캐주얼한’이라는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되며, 20대 여성의 들이 선호하 는 가방 그룹은 주로 y축의 마이너스 측, 즉 ‘격식을 갖춘’ 감성공간에 주로 위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y축의 플러스 측(캐주얼한)의 감성공간에 위치한 가방들은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또한, 수량화이론 I 류를 통해 ‘가방 재질’이 라는 독립변수가 ‘격식을 갖춘’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럭셔리 가방 디자인에 대한 감성반응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20대 시장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Bags have evolved beyond mere containers for personal belongings into spatial sculptural objects that fulfill conspicuous desires. With the rapid expansion of the female consumer base in their 20s,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contribution of luxury bag design to their emotional responses. Correlations between luxury bag design and emotional responses were measured using Quantification Theory Types III and I using 50 bag images collected from the official websites of Gucci, Dior, Chanel, Louis Vuitton, and Hermès, along with 21 emotional descriptors. The analysis applying Quantification Theory Type III revealed that the emotional response space for currently available luxury bags is structured around two axes: “fancy” and “casual.” Bags preferred by women in their 20s tend to lie primarily ons the negative side of the y-axis, corresponding to a “formal” emotional space. By contrast, bags positioned on the positive side of the y-axis (the “casual” emotional space) showed a lower preference. Furthermore, using Quantification Theory Type I, we foun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bag material”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chieving a “formal” impression. This study provides objective data on the market for women in their 20s by conducting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ir emotional responses to luxury bag design.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선행연구
    2.2. 감성어휘
    2.3. 이미지 맵(Image Map)
    2.4. 가방의 개념과 종류
3. 연구방법 및 절차
    3.1. 감성어휘 추출
    3.2. 이미지 수집
    3.3. 피험자 선정 및 실험 방법
    3.4. 평가도구
4. 연구 결과
    4.1. 수량화이론 III 류에 의한 감성공간 형성
    4.2. 럭셔리 가방 선호도와 요인 추출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
  • 김해강(울산대학교 디지털정보디자인학과 석사과정) | Hae-Kang Kim
  • 정재욱(울산대학교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 교수) | Jae-Wook Jeo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