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마인드셋(지능과 재능은 노력을 통해 성장 가능)인 사람이 고정 마인드셋(지능과 재능은 노력을 통해 변화하 기 어려움)인 사람보다 행복하다는 것에 대한 연구들이 있어 왔다. 그러나 성장 마인드셋인 사람들은 구체적으로 어떤 긍정 감정들을 경험하면서 행복한 것이고, 고정 마인드셋인 사람들은 어떤 부정 감정들을 경험하며 불행한 것 인지에 대해서는 연구를 찾기 어렵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성장 마인드셋인 사람과 고정 마인드셋인 사람이 경험하는 감정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탐구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20대 성인 880명을 대상으로 마인 드셋을 측정하였고, 이들이 경험하는 감정의 빈도를 PANAS-X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성장 마인드셋인 사람은 ‘느긋한, 자신감 없는, 화가 난’의 3가지 감정을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정 마인드셋인 사람 은 ‘화들짝 놀란, 짜증나는, 외로운, 멋쩍어하는, 비난받을 만한, 질색하는, 나에게 만족하지 못하는’의 7가지 감정을 자주 경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능과 재능이 노력을 통해 발전할 수 있다고 얼마나 믿는지가 평소 경험하는 감정을 다르게 할 수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한 드문 연구로서 가치가 있으며, 성장 마인드셋, 동기부 여, 성취 등의 관련 연구분야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motional differences experienced by individuals with a growth mindset (believing that intelligence and abilities can develop through effort) versus those with a fixed mindset (believing that intelligence and abilities are difficult to change through effort). While previous research has indicated that individuals with a growth mindset tend to be happier than those with a fixed mindset, little is known about the specific positive emotions experienced by growth-mindset individuals and the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by fixed-mindset individuals.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emotions experienced by individuals with growth and fixed mindsets. A total of 880 adults in their 20s participated, with their mindsets measured and the frequency of emotions they experienced assessed using the PANAS-X scale. The results revealed that individuals with a growth mindset frequently experienced three emotions: relaxation, timidity, and anger. Conversely, individuals with a fixed mindset frequently experienced seven emotions: astonishment, irritability, loneliness, sheepishness, blameworthiness, loathing, and dissatisfaction with self.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beliefs about the potential for intelligence and abilities to improve through effort can significantly influence the types of emotions people regularly experience. It holds value as one of the few studies to empirically validate this link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insights to related fields such as growth mindset, motivation, and achie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