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헌 및 사례 연구 기반의 밈 현상의 재해석 KCI 등재

A Reinterpretation of the Meme Phenomenon Based on Literature and Case Stud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3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Dawkins는 “넓은 의미의 모방”과 “밈”을 제시하여 “문화적 진화”의 원리를 설명하였다. 이후, 밈은 다양한 분야에 서 연구되고 인용되고 있다. 특히, 밈 현상은 PC 통신, 대중 인터넷 시대와 함께 스마트 환경, SNS 시대에 들어 더욱 활발히 확산하여 사회, 문화, 경제적 가치가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 및 사례 연구를 기반으로 밈을 현상적으 로 분석, 관찰하였으며, “유전자 문화 공진화” 이론의 관점을 통해 밈 현상을 재해석하였다. 첫째, 모방은 타인의 생각을 가져오는 행위이며, 생각은 행동 표현형 또는 행동 표현형을 통해 생산된 유무형의 산물로 발현된다. 둘째, 사람이 다른 사람의 행동 표현형을 그대로 가져오거나 가져온 뒤 재구성하여 또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현상을 밈현상이라고 재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적 전달 현상을 기반으로 문화적 진화가 유발될 수 있다. 셋째, “밈적 경 험”, “밈 전개”, ‘밈 영향력’은 “인적, 환경적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이때, ‘전달 경험’, ‘인지 경험’, ‘모방 경험’으로 구성되는 밈적 경험은 상대적이며, 의도적 설계와 우연성이 공존한다. 이를 통해, 밈 현상 속 개인과 집단의 경험을 거시적 또는 미시적 관점으로 관찰,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밈 이론을 우리가 사는 현실의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실천적 도구이자 사람 중심 이론으로 전환하였다.

Dawkins introduced the concepts of “imitation in a broad sense” and the “meme” to explain the principle of cultural evolution. Since then, the meme has been widely studied and cited across various fields. With the rise of PC communication, the internet, smart environment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meme phenomena have become increasingly pervasive, gaining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significance. This study phenomenologically analyzes and observes memes based on literature and case studies, offering a reinterpretation of the meme phenomenon through the lens of gene–culture co-evolution theory. First, imitation is defined as the acquisition of others’ thoughts, expressed as tangible or intangible products created through behavioral phenotypes. Second, the phenomenon in which a person adopts another's behavioral phenotype as it is, or reconstructs it before transmitting it to others, can be reinterpreted as the meme phenomenon. Based on this cultural transmission phenomenon, cultural evolution can be induced. Third, “memetic experience,” “meme stream,” and ‘meme impact’ vary according to “huma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Memetic experience, comprising transmission, cognitive, and imitation experiences, is inherently relative, with intentional design and randomness coexisting. Meme phenomena can thus be observed and interpreted from both macro and micro perspectives, reflecting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s and groups. This study repositions meme theory as both a practical tool and a human-centered framework for addressing real-world challenges.

목차
Abstract
요 약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선행 연구 분석 및 사례 연구
    2.1. 문화적 진화를 이해하기 위한 관점들
    2.2. Dawkins의 모방에 대한 현상적 이해
    2.3. 밈 현상과 환경 조건의 상호 작용
3. 밈 현상의 재해석
    3.1. 밈의 조건
    3.2. 밈적 경험의 상대성
    3.3. 밈적 경험의 3가지 측면
4. 결론
REFERENCES
저자
  • 전상일(국민대학교 디자인사이언스학과 AI디자인랩 박사과정) | Sangil Jeon
  • 주다영(국민대학교 AI디자인학과, 디자인사이언스학과 AI디자인랩 부교수) | Da Young Ju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