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재활용 섬유 인지에 따른 촉감성과 예상 가격의 변화 KCI 등재

Changes in Tactile Evaluation and Expected Price According to Recycled Fiber Recogn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3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패션산업에서 재활용 섬유의 촉감 및 감성 인지가 소비자의 구매의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양모65/재활용 캐시미어35, 캐시미어65/재활용 캐시미어35, 뉴 캐시미어 100%의 동일 사양으로 제직된 저 어지 니트 원단 3종류를 20∼30대 남녀 소비자 62명을 대상으로 촉감성의 관능평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8 통계패키지로 평균 및 빈도분석, t-test,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1차 관능평가 결과, 기모가공 된 재활용 섬 유가 긍정적으로 겨울철 섬유소재로서 선호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재활용 섬유 및 혼방률을 인지한 후의 2차 평가 결과, 감성 평가가 낮았던 캐시미어 100% 신섬유가 ‘우아한’, ‘정장용’, ‘개성적인’ 등 긍정적 평가가 상승하였 고, 예상 가격도 크게 증가하였다. 이처럼 유사 자극에 대한 감성 반응이 정보 인지에 따라 반전되는 현상은, 촉감각보다 인지적 정보가 소비자 평가에 더 강하게 작용함을 보여준다. 재활용 섬유 판단의 기준은 원단이 거칠고 딱딱하 거나 인공적인 촉감성을 나타내었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재활용 섬유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개선 및 효과적인 정보 전달 전략 수립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tactile and emotional perception of recycled fibers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and preferences within the fashion industry. Sensory evaluations were conducted on three types of jersey knit fabrics produced with identical specifications: wool (65%)/recycled cashmere (35%), new cashmere (65%)/ recycled cashmere (35%), and 100% new cashmere. Sixty-two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participated in two rounds of survey-based sensory evalu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ANOVA. The first round of evaluations, conducted before providing participants with information on the fiber content, revealed that brushed recycled fibers were favorably perceived as suitable winter materials. However, in the second-round evaluation, which occurred after participants were informed about the recycled content and blending ratios, the 100% new cashmere fabric—initially rated less positively—received significantly improved evaluations, particularly in descriptors like “elegant,” “formal,” and “unique.” This was accompanied by a substantial increase in estimated pri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position information plays a stronger role than tactile sensation in shaping consumer perception, as the same tactile stimulus led to reversed emotional responses once information was provided. Participants also identified the recycled fabrics based on their coarse, stiff, or synthetic-feeling tactile qualiti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consumer awareness about recycled fibers and underscores the ne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to foster more favorable perceptions toward sustainable fashion practices.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소재의 감성 평가
    2.2. 소재의 태(態, Handle) 평가
    2.3. 재활용 섬유 관련 선행연구
3. 연구방법
    3.1. 평가용 편물 저어지 시료 제작
    3.2. 관능검사 실험방법 및 자료분석
4. 연구결과
    4.1. 시료별 촉감ߵ감성 관능 평가
    4.2. 재활용 섬유 및 혼용률 인지 후 시료별 촉감ߵ감성 관능평가
    4.3. 재활용 섬유 혼방 여부에 따른 촉감 및 감성평가 차이
    4.4. 재활용 섬유에 대한 구분 능력
    4.5. 인지 전/후 예상 가격에 대한 변화
    4.6. 최종 용도(머플러)에 적합한 원단 조사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효정(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석사과정) | Hyo-jeong Lee
  • 김준호(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학사과정) | Jun-Ho Kim
  • 나영주(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교수) | Young-Joo N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