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포포나무 종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화장품 제형 내 안정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stability of Asimina triloba seed extract in cosmetic formula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3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에서는 포포나무 종자의 70% ethanol 추출물 (ETAE) 및 그 분획물인 hexane fraction (HAE), ethyl acetate fraction (EAE), butanol fraction (BAE)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이를 함유한 화장품 제형의 안정성을 분석하여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항산화 활 성은 0.1∼10 mg/mL의 농도에서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및 2,2-azino-bis-3- 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소거능과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분석을 통해 평가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MTT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률을 평가한 결과, HAE가 5 mg/mL에서도 높은 세포 생존률을 나타내었으 며, 수율이 가장 높아 제형 실험에 적용하였다. HAE를 첨가한 에멀젼 및 가용화 제형의 안정성 평가 결 과, pH, 점도, 색도 및 외관상 변화가 미미하여 물리적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40℃에서 3% HAE를 함유한 에멀젼은 상분리 및 입자 직경 증가가 관찰되어, 제형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추출물 함량을 1% 이하로 제한하는 등의 처방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포포나무 종자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바탕으로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 다.

This study reports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Asimina triloba seed extracts and their applicability in natural cosmetic formulations. The 70% ethanol extract (ETAE) and its fractions, including hexane (HAE), ethyl acetate (EAE), and butanol (BAE), were evaluated for antioxidant activity using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s, and FRAP analysis at concentrations of 0.1–10 mg/mL, demonstrating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in activity across all samples. MTT assay results demonstrated that HAE maintained high cell viability even at 5 mg/mL and had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making it the most suitable candidate for formulation experiments. Stability assessments of emulsions and solubilized formulations containing HAE indicated excellent stability, with minimal changes observed in pH, viscosity, color, and appearance under standard storage conditions. However, emulsions containing 3% HAE stored at 40°C exhibited phase separation and increased particle size, suggesting the need for formulation optimization, such as restricting HAE content to 1% or lower, to ensure st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simina triloba seed extracts have significant potential as natural cosmetic ingredients due to their strong antioxidant efficacy.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 험
    2.1. 시약 및 기기
    2.2. 시료 추출
    2.3. 항산화 효능 평가
    2.4. 세포 독성 평가
    2.5. 포포나무 종자 오일을 첨가한 제형의안정성 평가
    2.6. 통계처리
3. 결과 및 고찰
    3.1. 항산화 효능 평가 결과
    3.2. 세포 독성 평가 결과
    3.3. 포포나무 종자 오일을 첨가한 제형의안정성 평가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허혜연(목원대학교 화학과 화장품전공, 대학원생) | Hye-Yeon Heo (Division of Chemistry major in Cosmetic, Mokwon University, Doanbuk-ro 88, Seo-gu, Daejeon 302-729, Korea)
  • 양재찬(목원대학교 화장품학과, 교수) | Jae-Chan Yang (Division of Chemistry major in Cosmetic, Mokwon University, Doanbuk-ro 88, Seo-gu, Daejeon 302-729,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