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KCI 등재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42 No.2 (2025년 4월) 14

1.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습도센서에서 Zn-MOF (금속-유기구조)의 개발과 응용에 대해 다루며, 친환경적 합성과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보고한다. 그린 화학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작된 Zn-MOF를 유연한 폴리에 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판 상에 형성된 깍지낀 구조의 전극과 통합하였다. 상대습도가 10%부터 90%까지 증가할 때, 전기적 특성은 42.49 pF에서 370 nF까지 정전용량의 급격한 상승(약 939,322%)을 나타냈다. 또한, 임피던스는 47 MΩ에서 0.072 MΩ까지 약 99.81% 감소하였다. 제작된 습도센서는 반응시간 5초, 복구시간 약 0.7에서 0.9초로 동적으로 반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Zn-MOF가 고도로 민감하고 반응성이 뛰어난 습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과, 특히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센서의 정전용량성 반응성을 강조 하고자 한다.
4,200원
2.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라이소자임이 칸디다 알비칸스에 항균효능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라이소자임의 분해 절편도 또한 항균효능이 있는지 단백질 분해 효소인 트립신을 처리하여 확인해 보았다. 130개의 아미노산 으로 구성된 14 kDa 단백질인 라이소자임을 약 24 kDa의 분자량을 가지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트립신으 로 분해 하였다. 분해된 생성물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인 분석용 및 제조용 HPLC를 사용하여 분 석 및 분리하였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라이소자임 소화를 위한 최적 조건을 확인하고, 분해된 펩타이드 절 편들을 분리하였다. 효능평가 결과, 일부 펩타이드 절편들이 칸디다 알비칸스에 강한 항균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몇몇은 활성이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4,300원
3.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스포츠산업의 블록체인 기술 활용화가 적용될 요소를 논의 및 정리하고 향후 방향성 을 제시하자는 목적을 두고 이를 위해 프로그래머 출신 블록체인 기업 대표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 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의 면담 내용을 학술적 용어로 전환한 14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고, 상위개 념인 하위 구성요소는 4개가 도출되었다. 이어서 하위 구성요소들을 통합하고 맥락에 따라 배열하여 ‘NFT 사업’, ‘운영의 효과성’, ‘팬 주도형 스포츠 사업’으로 3개의 상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스포 츠 산업의 블록체인 기술 적용에 있어 NFT(Non-fungible Token)를 핵심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디지털 자산 시장이 스포츠 분야에서도 유사하게 확산될 것으로 판단 했다. 블록체인은 분산 저장과 투명성으로 인해 해킹이나 위변조가 어려워 진본 증명 등 보안 분야에서 주 목받고 있으며, 스포츠 산업에서는 이러한 블록체인의 특성이 티켓팅 시스템 혁신, 암표 거래 방지, 스마트 계약을 통한 선수 관리 등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이 미디어 콘텐츠 유통, 시청자 참여 확대, 광고 및 저작권 보호와 같은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이에 따라 스포츠 팬들이 단순한 소비자를 넘어 구단의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이해관계자로 변화할 가 능성이 제기되었다.
4,000원
4.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립가스 표면발산량 조사 결과의 신뢰도와 측정지점 수의 적정성 평가를 위해 수도권 제2매립 장을 대상으로 중심극한정리와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개의 표면발산 경로별 flux에서 매립가스 보다 메탄의 상대편차가 훨씬 크게 나타났으며, 계절별로는 두 경우 모두 여름철 상부가 각각 409%, 1,174%로 가장 컸다. 상대오차도 메탄의 값이 전반적으로 컸으며, 4계절 평균시 여름철 메탄이 182.7%로 가장 크고, 매립가스의 봄과 겨울철이 33.0% 내외로 가장 작았다. 20%의 상대오차를 허용할 때 현장 측정 지점 수는 모두 적정 수 대비 100% 미만이었으며, 특히 메탄이 매우 낮았다. 표면발산량이 가장 큰 상부의 경우 측정지점 수의 만족도는 봄부터 겨울까지 매립가스는 각각 26.1%, 9.8%, 17.9%, 22.6% 그리고 메탄 은 각각 2.7%, 1.2%, 5.9%, 3.2%에 불과하였다. 연구결과 매립가스 표면발산량 조사시에 현재의 챔버 방 식은 신뢰도 확보에 한계가 있으므로 대체 조사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300원
5.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 and NMN-containing serum.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MN, a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264.7 macrophage model was us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NMN exhibited no cytotoxicity at concentration up to 1%. Additionally, 1% NMN significantly inhibit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duced by LPS and suppres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both of which are key inflammatory enzymes. Furthermore, to assess the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NMN, tyrosinase inhibition, elastase inhibition, and collagenase inhibition assay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1% NMN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by 10.85%, elastase activity by 18.69%, and collagenase activity by 91.94%.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NMN has a relatively limited whitening effect, it has significant potential as an anti-inflammatory and wrinkle-improving agent, suggesting its potential as a cosmetic material.
4,000원
6.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포포나무 종자의 70% ethanol 추출물 (ETAE) 및 그 분획물인 hexane fraction (HAE), ethyl acetate fraction (EAE), butanol fraction (BAE)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이를 함유한 화장품 제형의 안정성을 분석하여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항산화 활 성은 0.1∼10 mg/mL의 농도에서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및 2,2-azino-bis-3- 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소거능과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분석을 통해 평가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MTT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률을 평가한 결과, HAE가 5 mg/mL에서도 높은 세포 생존률을 나타내었으 며, 수율이 가장 높아 제형 실험에 적용하였다. HAE를 첨가한 에멀젼 및 가용화 제형의 안정성 평가 결 과, pH, 점도, 색도 및 외관상 변화가 미미하여 물리적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40℃에서 3% HAE를 함유한 에멀젼은 상분리 및 입자 직경 증가가 관찰되어, 제형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추출물 함량을 1% 이하로 제한하는 등의 처방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포포나무 종자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바탕으로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 다.
4,900원
7.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헤스페리딘과 퀘르세틴은 항산화와 항염증 작용이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 섭취로 비만이 유도되는 C57BL/6J mice에서 헤스페리딘과 퀘르세틴의 단독처리 및 복합처리 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개선하고 간에서의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마우스는 무작위로 고 지방식이 섭취 대조군(Con), 헤스페리딘을 처리한 고지방식이 섭취군(Hes), 퀘르세틴을 처리한 고지방식이 섭취군(Que) 및 헤스페리딘과 퀘르세틴을 복합처리한 고지방식이 섭취군(Hes+Que)으로 분류하였다. Que 과 Hes+Que의 간 무게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Con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Hes, Que 및 Hes+Que는 Con에 비해 몸무게와 간세포의 지질축적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간세포에서 염 증 표지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Con에 비해 Hes, Que 및 Hes+Que는 염증 인자가 감소하였고 항 염증 인자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헤스페리딘 및 퀘르세틴의 단독처리보다는 복합처리가 더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헤스페리딘과 퀘르세틴이 비만으로 유도된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간세포의 염증에 대해 억제효과가 있으며, 특히 헤스페리딘과 퀘르세틴의 복합처리가 각각의 단독처리에 비해 간 기 능을 더 효과적으로 개선함을 시사한다.
4,200원
8.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잉카피넛씨 오일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헤어케어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화학적으로 손상된 모발을 대상으로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에는 화학적 처리를 한 번도 거치지 않은 버진 헤어를 사용하였으며, 3회에 걸친 화학적 염색 처리를 통해 모발 손상을 유도하 였다. 이후 잉카피넛씨 오일을 다양한 농도로 함유한 제형을 제조하여 손상된 모발에 적용하였고, 메틸렌 블루 염색을 통해 모발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잉카피넛씨 오일을 함유한 제형은 피부에 홍반 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지 않아 우수한 피부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잉카피넛씨 오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발 손상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잉카피넛씨 오일이 화학적으로 손상된 모발 의 구조적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천연 오일 기반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헤어케어 제품 개발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9.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섬유근육통(FM) 통증관리를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평가하여 실시간 통증 추적과 체계적인 임상 데이터 수집을 가능하게 한다. 연구는 세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첫째, 필수 기 능을 도출하기 위한 문헌 검토를 수행하였고, 둘째, 임상의 및 UX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한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통해 기능을 정제하였으며, 셋째, 반복적인 프로토타이핑과 사용성 테스트를 거쳐 최 종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결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은 광범위 통증 지수(WPI), 증상 심각도 척도(SSS),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VAS)를 포함하며, 인터랙티브 통증 맵핑, 약물 추적, 증상 추세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전문가들은 사용 편의성, 임상적 통합, 개인 맞춤형 피드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환자 중심 애플리케이션은 자가 모니터링 및 임상적 의사 결정을 지원함으로써 FM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장기적 효과를 평가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5,400원
10.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K-뷰티브랜드의 사회적 책임(CSR)활동의 속성요인과 동기요인이 한·중 소비자의 행 동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한 데이터 중 392부를 이용해 단계적 회 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집단에서 이해관계자지향 동기, 전략적 동기, 영향력, 차별성이 행동의도에 영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중 소비자 집단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한국 소비자 집단에서는 가치지 향 동기와 전략적 동기, 영향력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국 소비자 집단에서는 적 합성, 영향력, 차별성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과 중국 시 장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CSR 전략을 수립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4,300원
11.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hydrogels have emerged as premier platforms for drug delivery, attracting significant attention due to their exceptional biocompatibility and precisely tunable physical properties. Among the diverse crosslinking strategies available, enzymatic crosslinking mediated by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 offers distinctive advantages, particularly in enabling precise control over mechanical properties through gradual network formation. This study unveils the remarkable potential of mTG-mediated hydrogels for sophisticated drug delivery applications by harnessing their dynamic crosslinking characteristics. Our findings reveal that higher mTG concentrations generate more densely crosslinked networks with increased stiffness (up to 82.18 kPa at 10 mg/mL mTG), which surprisingly accelerates drug release kinetics by exerting pressure on encapsulated compounds. Conversely, lower mTG concentrations produce more permissive matrices with greater swelling capacity, facilitating sustained drug retention and controlled release profiles. Through systematic investigation of mTG concentration effects on mechanical properties, swelling behavior, and drug release patterns, we demonstrate unprecedented ability to fine-tune release kinetics with exceptional precision. Biocompatibility assessments confirm excellent cell viability across all formulations (80-98%), establishing these systems as highly promising for therapeutic applications. This research positions mTG-mediated hydrogels as next-generation drug delivery platforms capable of achieving customized release profiles through simple enzymatic modulation, offering transformative potential for targeted therapeutics. Future investigations will expand this versatile system's applicability to diverse bioactive compounds and evaluate its performance under complex physiological conditions.
4,300원
12.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주름개선에 효능이 우수한 활성성분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난용성 성분 중 하나인 ursolic acid (UA)의 용해를 쉽게 하고, 나노캡슐을 만들어 안정성을 높이고 경표피 흡수를 빠르 게 하는 것이다. UA의 나노 캡슐(nano-UA60)을 위한 최적조건은 0.5 wt%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 틴 (HyL), 0.5 wt%의 불포화레시틴 (UsL), 0.5 wt%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리소레시틴 (HyLL), 0.1 wt%의 피토스핑고신 (PhyS), 0.05 wt%의 세라아미드 엔피, 0.1 wt%의 콜레스테롤, 5.0 wt%의 BG, 5.0 wt%의 PG, 5.0 wt%의 DPG, 0.03 wt%의 수소첨가콜라겐 (HyC), 10.0 wt%의 에탄올, 72.22 wt%의 정제수에 1.0 wt%의 UA 혼합했을 때, 가장 파인한 나노캡슐을 얻을 수 있었다. Nano-UA60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된 microfluidizer의 최적조건은 시료의 통과온도 60℃, microfluidizer의 통과횟수 3 회, 반응 쳄버 통과압력 10,000 psi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Nano-UA60의 입자크기는 60.2±3.7 nm이었 다. Microfluidizer에 3회 통과 시의 zeta potential이 -24.48±3.27 mV로 베지클이 안정하게 분산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Nano-UA60의 pH범위는 pH 6부터 9에서 가장 안정하였으나, 그밖에 산성과 알칼리성 상태에서는 불안정하였다. 24시간 경과 시 Nano-UA60의 경표피의 침투량은 26.80 mg/cm2 침투되었으며, 피부두께를 0.7 mm로 가정하면 838.31μg/㎠가 피부에 침투가 가능하였다. 1μM에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볼 때, 약 838.31 배의 활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Nano-UA60의 안정성은 실온에서는 99.0%, 냉온에서는 102.1%, 가속조건에서는 97.8%, 가혹 조건에서는 97.8%가 검출되어, 비교군인 O/W 에멀젼의 57.9% 보다 안정하였다.
4,900원
13.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브랜드를 강화하는데 요구되는 축제의 속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 는 경기도 양평에서 개최된 ‘산나물 축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현장 근무자, 축 제 현장 모니터링을 위해 축제에 참여한 사람, 방문객, 자원봉사자와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26명의 참 여자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축제의 속성은 축제의 주제와 경제 활성화와 같은 정체성 관 련 요소, 진정성과 즐거움과 같은 경험 관련 요소, 녹색성과 연령 다양성과 같은 가치 관련 요소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더 나은 지역 브랜드 개발을 위한 지방 정부, 축제 관련 산업체 또는 지 역사회의 자원봉사자의 역량을 개발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여가활동으로서의 축제관광 방문객의 시장세분화에 기여할 것이다.
4,600원
14.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DIY 화장품 제조 체험 특성이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 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문지 219부를 SPSS 27을 통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IY 화장품 제조 체험 특성의 하위요인인 감 각적, 감성적, 인지적, 행동적, 관계적 체험 중에서 감각적, 감성적, 인지적 체험이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DIY 화장품 제조 체험 특성 중 감각적, 감성적, 인지적, 관계적 체험 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각 적 체험과 인지적 체험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DIY 화장품 제조 체험을 통해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 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시각ž청각ž후각적 요인과 배움과 창의성을 강조한 융합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시킬 필요가 있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