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섬유근육통(FM) 통증관리를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평가하여 실시간 통증 추적과 체계적인 임상 데이터 수집을 가능하게 한다. 연구는 세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첫째, 필수 기 능을 도출하기 위한 문헌 검토를 수행하였고, 둘째, 임상의 및 UX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한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통해 기능을 정제하였으며, 셋째, 반복적인 프로토타이핑과 사용성 테스트를 거쳐 최 종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결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은 광범위 통증 지수(WPI), 증상 심각도 척도(SSS),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VAS)를 포함하며, 인터랙티브 통증 맵핑, 약물 추적, 증상 추세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전문가들은 사용 편의성, 임상적 통합, 개인 맞춤형 피드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환자 중심 애플리케이션은 자가 모니터링 및 임상적 의사 결정을 지원함으로써 FM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장기적 효과를 평가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5,400원
        2.
        2014.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립가스는 유기물의 소화로 발생되는 복합성 가스이며 주성분인 메탄(CH4), 이산화탄소(CO2) 이외에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할로겐 탄화수소, 휘발성유기규소화합물(VMSs)을 포함한다. 매립가스의 구성물질 중 황화수소는 주요 악취물질로 반응성이강하며 휘발성유기규소화합물은 매립가스 내 불순물로 장치 부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매립가스의 효율적인 자원화를 위해서는 매립가스 내 황화수소 및 휘발성유기규소화합물의 전처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황화수소와 휘발성유기규소화합물의 전처리공정으로서 흡착공정을 개발하고, 우선 황산철용액으로 개질된 활성탄을 제조하고 개질 활성탄의 흡착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흡착제는 식물계 활성탄에 황산철(FeSO4・7H2O)용액으로 첨착하였다. 흡착 방법으로는 흡착제가 채워진 유리재질의 흡착관에(∅10×150 mm) 황화수소 및 휘발성유기규소화합물 중 D4를 질소(99.999%)와 함께 0.3 L/min으로 유입시켜 유출농도가 유입농도의 5%로 배출 될 때를 파과점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황화수소는 초기농도 1%에서 질소와 혼합하여 3,333 ppm으로 유입되었으며, 휘발성유기규소화합물인 D4는 650 ppm으로 유입되었다. 황화수소는 10 ppm까지 황화수소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이후 GC-PFPD로 분석하였으며 휘발성유기규소화합물인 D4는 GC-FI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개질된 활성탄의 비표면적은 1205.4 m²g-1로 비개질 활성탄의 비표면적인 1111.3 m²g-1 보다 큰 값을 보여주었다. 또한, 주사형 전자현미경 분석을 통해 입경크기 및 표면기공을 확인한 결과 개질된 활성탄의 표면기공이 1 μm 이하부터 8 μm 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개질된 활성탄의 황화수소 및 휘발성유기규소화합물의 흡착능은 각각 0.256 g/g, 0.413 g/g으로 비개질 활성탄의 흡착능인 0.023 g/g에 비해 매우 높은 흡착능을 보여주었다. 개질된 활성탄의 첨착된 철에 의한 화학흡착과 제조과정에서 형성된 활성탄 표면의 관능기가 황화수소 및 휘발성유기규소화합물의 흡착에 영향을 주는 것을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