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Y 화장품 제조 체험 특성이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DIY 화장품 제조 체험 특성이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 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문지 219부를 SPSS 27을 통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IY 화장품 제조 체험 특성의 하위요인인 감 각적, 감성적, 인지적, 행동적, 관계적 체험 중에서 감각적, 감성적, 인지적 체험이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DIY 화장품 제조 체험 특성 중 감각적, 감성적, 인지적, 관계적 체험 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각 적 체험과 인지적 체험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DIY 화장품 제조 체험을 통해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 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시각ž청각ž후각적 요인과 배움과 창의성을 강조한 융합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DIY cosmetics manufacturing experiences on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purpose, 219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7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DIY cosmetics manufacturing experience characteristics—sensory,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nd relational experiences—sensory, emotional, and cognitive experienc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Second, sensory, emotional, cognitive, and relational experienc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Third,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Fourth, sensory and cognitive experience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both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Therefore, to enhance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DIY cosmetics manufacturing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grated experience programs that emphasize visual, auditory, and olfactory elements along with learning and crea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