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파크골프 참여자의 의사결정균형과 운동결과기대 및 운동지속의도와의 관계 KCI 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Decisional Balance, Exercise Outcome Expectations,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in Park Golf Participa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4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파크골프 참여자의 의사결정균형, 운동결과기대, 운동지속의도 간 구조적 관계를 규 명하고, 고령층 대상 스포츠로서 파크골프의 매력 및 운동 지속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에 2024년 9월 2일부터 2025년 4월 4일까지 60세 이상 파크골프 이용자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운동지속의도는 의사결정균형과 운동결과기대에 의해 유의미하게 설 명되었으며, 두 변인은 상호 보완적 관계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뉴실버세대는 신체활동을 단순한 생 리적 요구를 넘어 정서적 만족 및 사회적 의미 추구의 여가활동으로 재정의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파크골 프 프로그램 개발 시 정서적·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전략 마련이 요구됨을 강조한다. 초기 적응 지원 프로그램 제공, 운동 효과 피드백 시스템 구축, 지역사회 기반 커뮤니티 활성화 등의 방안이 운동 지속 동 기 향상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층 신체활동 참여 확대 및 지속률 제고를 위한 실천적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ecision balance, exercise outcome expectations, and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of park golf participants, as well as to explore the attra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f park golf as a sport for the elderl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 2024, to April 4, 2025, targeting 188 park golf users aged 60 and above. The results indicate that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is significantly explained by decision balance and exercise outcome expectations, which were found to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w Silver Generation redefines physical activity beyond mere physiological needs, emphasizing emotional satisfaction and social significance as leisure pursuits.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developing customized park golf programs that reflect these emotional and social demands. Practical strategies such as providing initial adaptation support programs, establishing exercise feedback systems, and promoting community-based activities are expected to effectively enhance exercise persistence motivation. These findings offer valuabl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xpanding and sustaining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older adult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가설
2. 연구방법
    2.1. 조사대상
    2.2. 조사도구
    2.3.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2.4. 자료처리 방법
3. 연구결과 및 고찰
    3.1. 구조모형의 적합도 평가
    3.2. 연구가설 검증결과
    3.3. 직, 간접효과 및 총효과 검증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김주원(서원대학교 비전학부, 조교수) | Joo-Won Kim (School of Vision, Assistant Professor, Seowon University, Chungbuk,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