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 청년의 취업 유예 현상에 관한 현상학 연구: 직업 가치관은 중심으로 KCI 등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mployment Delay Phenomenon among Chinese Youth : Focusing on Career Valu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4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최근 중국 청년층 사이에서 '취업 유예'가 하나의 새로운 진로 선택 양 식으로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이 단순한 불취업이 아니 라 청년 세대의 가치관 변화와 맞물린 사회문화적 현상임에 주목하고, 청년들이 취업을 유예하게 되는 동기와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현상학적 접근에 따라 실제 취업 유예 경험이 있는 청년들을 심 층 면담하였으며, "청년들은 왜 취업을 유예하는가?", "그 과정에서 어떤 직업 가치와 사회적 태도가 드러나는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총 39개의 의미 단위, 14개의 하위 구성 요소, 5 개의 핵심 구성 요소가 도출되었다. 이 5가지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직업과 개인 가치관의 갈등' 권위적 직장 문화와 단순 반복 업무에 대한 거부, '이상과 현실 사이의 균형' 현실적 제약 속에서도 자아실현을 추구 하려는 노력,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의식' 포용성과 공정성에 대한 감수 성, '탐험과 모험을 통한 자유' 안정성보다 자율성과 창의성을 중시, '가 족의 지원과 세대 간 차이' 정서적 지지를 기반으로 한 진로 탐색의 가 능성. 본 연구는 청년 취업 유예 현상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통해 진로 교육, 고용정책, 조직문화 변화에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Delayed employment” is a growing trend among Chinese youth, reflecting changing career values. This study views it not as simple unemployment but as a socio-cultural phenomenon linked to generational value changes. Us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youth who have deferred employment, focusing on the questions: "Why do young people delay employment?" and "What vocational values and social attitudes are revealed in the process?" The analysis yielded 39 meaning units, 14 subcomponents, and five core components: 'conflict between work and personal values'; 'balancing ideals and reality'; 'aware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freedom through exploration'; and 'family support and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youth career guidance, employment policy, and organizational culture transformation.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취업 유예의 개념과 유형
    2. 중국의 취업 유예 현황 및 구조적 배경
    3. 중국 취업 유예 영향 요인
III. 연구방법
    1. 현상학 연구
    2. 연구 참여자 선정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5. 윤리적 고려 및 질적 연구의 엄격성 확보
IV. 분석 결과
    1. 직업과 개인 가치관의 갈등
    2. 이상과 현실 사이의 균형
    3.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의식
    4. 탐험과 모험을 통한 자유
    5. 가족의 지원과 세대 간 차이
V. 결론 및 논의
    1. 연구 논의
    2. 연구 시사점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참고문헌>

저자
  • 이대양(가톨릭대학교) | Li Daya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김경이(가톨릭대학교) | Kim Kyung Ye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