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코피트를 이용한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 ‘신틸라’의 용기재배 가능성 평가 KCI 등재

Growth Responses of Pot-grown Southern Highbush Blueberry ‘Scintilla’ as Affected by Cocopeat growing Medi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4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시험은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한 무가온온실에서 ‘신 틸라’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의 용기재배 시 피트모슬 대체 하여 코코피트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트모스+펄라이트(대조), 피트모스+코코피트 +펄라이트, 코코피트, 코코피트+펄라이트 등 네가지 조합으 로 구성되었으며 재식 이듬해 생육과 수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주당 신초수는 대조구보다 코코피트 상토에서 21% 코 코피트+펄라이트 상토에서 43%나 감소하였고, 주당 수량은 대조구가 1.7kg인 반면, 코코피트 및 코코피트+펄라이트 상 토에서는 대조구의 41% 수준으로 현저히 낮았다. 또한 배액 의 pH는 대조구가 1월부터 수확 종료 후 1개월인 7월까지 3.8 에서 4.0 범위를 유지한 반면, 코코피트 단용 및 코코피트+펄 라이트 혼합 상토에서는 6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이러한 결과 코코피트 단독 또는 펄라이트 혼합만으로는 블루베리 생육에 부적합하며, 기존 피트모스+펄라이트 상토에 일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만 활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using cocopeat as an alternative to peatmoss for pot cultivation of the southern highbush blueberry cultivar ‘Scintilla’ in an unheated greenhouse located in Jinju, Gyeongsangnam-do. Four growing media were tested: peatmoss + perlite (control), peatmoss + cocopeat + perlite, cocopeat alone, and cocopeat + perlite. Growth and yield were assessed during the year following planting. The number of new shoots per plant decreased by 21% in cocopeat alone and 43% in cocopeat + perlite compared to the control. Yield per plant was highest in the control (1.7 kg) and similar in peatmoss + cocopeat + perlite medium, whereas cocopeat alone and cocopeat + perlite treatments significantly reduced yields to approximately 41% of the control. In the second year after planting, the drainage pH of the control medium was maintained between 3.8 and 4.0 from January through July (one month after harvest), while cocopeat-based media exhibited higher drainage pH levels above 6.0, which is not suitable for blueberry cultivation due to its preference for acidic conditions. Therefore, cocopeat alone or mixed only with perlite is unsuitable for blueberry production; however, a mixture including cocopeat with peatmoss and perlite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alternative medium.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시험처리 및 시험수 관리
    2. 조사 및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수체 생장 및 수량
    2. 배액의 pH와 EC
적 요
Literature Cited
저자
  • 천미건(경남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농업연구사) | Mi Geon Cheon (Agricultural Junior Researcher, Research and Development Bureau,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Jinju 52733,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