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경재배 시 배지 종류에 따른 병풀(Centella asiatica L.)의 생육 특성 비교 KCI 등재

Effects of Different Media on the Growth of Centella asiatica L. in a Hydroponic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4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병풀(Centella asiatica)의 뛰어난 약리적 효능은 산업적 활 용을 위한 대량증식 개발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며 이 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경재배 시스템에 서 런너를 이용한 병풀의 영양번식 시 배지 종류에 따른 생육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폴리우레탄폼 (PU)에서 재배된 병풀의 지상부 생체중, 런너 생체중, 건물중, 엽면적, SPAD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하이드로 볼(HB) 역시 다른 배지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생육 특 성을 나타냈으나, 지피 펠렛(JP)에서는 대부분 생육특성에서 가장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PU 배지에서 생육 증가는 뿌리 발달에 핵심적인 물리적 특성인 총 공극률과 기상률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병풀의 영양번식 및 대량생산을 위해 PU 배지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otent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Centella asiatica underscore the need for its large-scale propagation for industrial applications, in response to increasing market deman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entella asiatica cultivated in organic and inorganic media during vegetative propagation using runners under a hydroponic system. Plants grown in polyurethane foam (PU)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shoot fresh weight, runner fresh and dry weights, leaf area, and SPAD value. Hydroball (HB) also showed superior growth compared to other media. In contrast, plants in jiffy pellets (JP) showed the poorest growth. These enhanced growth characteristics in PU are attributed to its high total porosity and air space, key physical properties that promote root development and ac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PU is identified as the most suitable media for the vegetative propagation and subsequent large-scale production of Centella asiatica.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및 재배환경
    2. 측정항목
    3.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배지의 이화학적 특성
    2. 생육특성
적 요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유경현(경상국립대학교 원예과학부 학부생) | Kyoung-Hyun Yu (Undergraduate Student, Division of Horticul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 강인제(경상국립대학교 원예과학부 대학원생) | In-Je Kang (Graduate Student, Division of Horticul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 심한솔(경상국립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대학원생) | Han-Sol Sim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GreenBio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725, Korea)
  • 장성남(경상국립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대학원생) | Seong-Nam Jang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GreenBio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725, Korea)
  • 이가운(경상국립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대학원생) | Ga Oun Lee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GreenBio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725, Korea)
  • 권혁준(콜마비앤에이치 책임연구원) | Hyuk Joon Kwon (Senior Researcher of the Center, Food Science R&D Center, Kolmar BNH Co., Jecheon-si 27116, Korea)
  • 연수호(콜마비앤에이치 연구원) | Su Ho Yeon (Researcher of the Center, Food Science R&D Center, Kolmar BNH Co., Jecheon-si 27116, Korea)
  • 조영대(콜마비앤에이치 연구소장) | Young Dae Cho (Director of research of the Center, Food Science R&D Center, Kolmar BNH Co., Seoul 30003, Korea)
  • 손기호(경상국립대학교 원예과학부 교수, 경상국립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교수) | Ki-Ho Son (Professor, Division of Horticultural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725, Korea, Professor, Department of GreenBio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725,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