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실증분석을 통하여 마음챙김과 감정노동, 마음챙김과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 트레스의 부정적인 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를 항공사 객실승무원으로 선정하였고, 실증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SNS의 서베이 폼을 이용하여 306부의 유효 표본을 수집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 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마음챙김 중에서 현실자각과 수용은 감정노동의 강도를 높이고, 주의집중은 감정노동의 강도를 낮춘 다. 둘째, 마음챙김 중에서 수용은 직무스트레스를 높이고, 현실자각은 관계갈등스트레스를 낮추고, 주의집중은 업무스트레스를 낮춘다. 셋째, 감정노동의 강도가 높아지면 근무환경스 트레스와 업무스트레스도 높아지므로, 주의집중의 마음챔김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를 낮추 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mindfulness and emotional labor, mindfulness and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and to suggest ways to reduce the negative asp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among airline cabin crew members. To achieve this, airline cabin crew member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Data for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llected using a survey form on social media, resulting in a valid sample of 306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offered based on the findings: First, among mindfulness practices, awareness of reality and acceptance increase the intensity of emotional labor, while attentional focus decreases the intensity of emotional labor. Second, among mindfulness practices, acceptance increases job stress, awareness of reality reduces relationship conflict stress, and attentional focus reduces job stress. Third, as the intensity of emotional labor increases, work environment stress and job stress also increase, thus, mindful attentional focus should be used to reduce job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