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원 강사의 가족 건강성, 교사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후보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 and The Teacher’s Efficac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Instruct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5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Korean Journal of Fusion Ayurveda)
한국아유르베다학회 (Korean Ayurveda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학원 강사의 가족 건강성과 교사 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교육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와 이로 인한 정신건강 문 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 건강성과 교사 효능감이 심리적 안녕 감에 미치는 구체적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J시 내 20세 에서 59세 사이의 학원 강사 116명을 대상으로 횡단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세 변수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 건강성은 결혼 상태와 월수입에 따라, 교사 효능감은 성별과 학력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은 연령과 결혼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더불어 가족 건강성과 교사 효능감은 심리적 안녕감과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 며, 교사 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의 중요한 예측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원 강 사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해 가족 지지 강화와 교사 효능감 향상이 중요함을 시사하 며, 교육 현장에서 맞춤형 정신건강 중재 및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실증적 근거를 제공한 다.

This study seek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family health and teacher efficac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ivate academy instructors. Despite the growing recognition of occupational stress among educators and its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empirical investigations into how family health and teacher efficacy contribute to psychological well-being remain scarce. A cross-sectional survey was administered to 116 private academy instructors aged 20 to 59 in City J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Finding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health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monthly income, teacher efficacy by gender and educational attain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y age and marital status. Moreover, both family health and teacher efficac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teacher efficacy emerging as a significant predictor.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fostering family support and enhancing teacher efficacy to promote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private academy instructors.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targeted mental health interventions and support programs within educational context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방법
    2.5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대상자 특성
    3.2 대상자의 가족 건강성,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정도
    3.3 대상자 특성에 따른 가족 건강성,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정도
    3.4 대상자의 가족 건강성, 교사효능감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3.5 대상자의 가족 건강성, 교사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수진(Associated Professor, Nursing Dept., Jeju Halla Univ., Nohyeong-dong, Jeju-si, Jeju, Korea) | Kim Soojin
  • 송지현(Associated Professor, Nursing Dept., Jeju Halla Univ., Nohyeong-dong, Jeju-si, Jeju, Korea) | Song Jihyeu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