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펄스형 지반운동을 받는 교량의 지진취약도에 대한 펄스주기의 영향 KCI 등재

Effect of Pulse Period on the Seismic Fragility of Bridges Subjected to Pulse-like Ground Mo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6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펄스형 지진이 비펄스형 지진보다 구조물에 보다 큰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펄스형 지진으로부터 속도펄스를 추출 하면 펄스주기를 평가할 수 있는데, 55개의 펄스형 지진기록을 선정하여 펄스 주기를 평가하고 펄스 주기에 따라서 세 그룹으로 구분 하였다. 펄스 주기를 달리하는 따른 세 개의 지진그룹에 대하여 가속도, 속도, 변위에 대한 평균 응답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펄스 주 기와 펄스주기에 대응하는 주기영역에서의 응답스펙트럼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펄스형 지진의 펄스주기가 교량 의 지진취약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세 가지 지진그룹의 펄스주기와 유사한 고유주기를 가지는 세 가지 교량모델을 작 성하여 지진취약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교량의 고유 주기와 펄스형 지진의 펄스 주기가 서로 유사할수록, 교량의지진취약도가 증가 함을 알 수 있다. 즉, 두 주기 간의 유사성이 증가할수록, 교량의 비탄성 응답이 증가하며 이에 따른 구조적 손상이 크게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Pulse-like ground motions are known to cause greater damage to structures than non-pulse-like ground motions. The pulse period can be evaluated by extracting velocity pulses from pulse-like ground motions. In this study, 55 pulse-like ground motions were selected to evaluate the pulse perio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pulse period. The average response spectra for acceleration, velocity, and displacement for three earthquake groups with different pulse periods were compared. We observed that the pulse period and response spectra in the periodic domain corresponding to the pulse period were closely rela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ulse period of pulse-like ground motions on the seismic fragility of bridges, we created three bridge models with natural periods similar to the pulse periods of three earthquake groups and analyzed the seismic fragility. The more similar the natural period of the bridge and pulse period of the pulse-like ground motion, the greater the seismic fragility of the bridge increases. In other words, as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periods increases, the inelastic response of the bridge increases, and the structural damage resulting from this increases significantly.

목차
Abstract
1. 서 론
2. 지진파에 대한 속도펄스의 평가법
    2.1 펄스형 입력지진과 펄스 주기에 따른 그룹 분류
3. 예제 교량
    3.1 교량 모델링
    3.2 지진그룹에 따른 교각의 힘-변위 관계 비교
4. 지진파의 펄스 주기에 따른 교량의 지진취약도 영향평가
    4.1 지진취약도 해석방법
    4.2 교각의 손상상태 정의
    4.3 펄스 주기에 따른 지진취약도의 영향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요 지
저자
  • 김예은(강원대학교 건축,토목,환경공학부 석사과정) | Yeeun Kim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24341, Korea)
  • 꽁씨나(강원대학교 건축,토목,환경공학부 박사과정) | Sina Kong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24341, Korea)
  • 문지호(강원대학교 건축,토목,환경공학부 부교수) | Jiho Moon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24341, Korea)
  • 송종걸(강원대학교 건축,토목,환경공학부 교수) | Jong-Keol Song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24341,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