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메커닉스의 규칙 카테고리 분류에 대한 연구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게임은 규칙을 핵심 요소로 가지고 있으며 규칙을 학습하고 준수하는 것으로 게임이 진행되고 끝나게 된다. 게임 규칙을 작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많은 개 발사에 도움이 되기 위해 게임 규칙에서 필요로 하는 카테고리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게임 산 업에서 게임 규칙을 체계적으로 작성하기 위해 먼저 규칙의 카테고리 구분이 필요하며, 어떤 카테고리에 상대적으로 노력을 기울일 것인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게임 규칙 카테고리의 5가지 상위계층과 15가지 하위계층을 정리하여 게임 규칙 카테고리 계층화 모델을 설계하고 싱글과 멀티 플레이 게임에 게임 규칙 작성 시 중요시할 카 테고리의 우선순위를 비교분석했다. 성장, 캐릭터, 스토리텔링, 세계관, BGM의 우선순위가 싱 글 플레이 게임에서 높게 나온 것에 비해 멀티 플레이 게임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조작, 전투, 레벨 디자인, UI의 우선순위가 멀티 플레이 게임에서 높게 나온 것에 비해 싱글 플레이 게임 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The rules are a core element in every game, and the game progresses and concludes through learning and adhering to these rules. To assist the many developers who struggle with formulating game rules,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the various components that make up game rules. In the game industry, a systematic approach to writing game rules requires first distinguishing categories of rules and providing guidelines on which categories should receive relatively more focus. This study organizes five top-level and fifteen sub-level categories of game rules to design a hierarchical model for categorizing game rules. It then compares and analyzes the priority of categories that should be emphasized when writing game rules for single-player and multi-player games. The priorities of categories such as Growth, Character, Storytelling, Fictional World, and BGM were found to be higher in single-player games, whereas they were lower in multi-player games. Conversely, the priorities of categories such as Controls, Combat, Level Design, and UI were found to be higher in multi-player games, whereas they were lower in single-player ga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