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상처, 특히 다제내성 세균 감염으로 복잡한 상처는 임상적 상처 관리에서 지속적인 도전 과제이다. 자연 유 래 생체 고분자인 키토산은 고유한 항균 활성, 생체 적합성 및 필름 형성 특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단독 사용은 기계 적 강도가 낮고 약물 보유가 짧기 때문에 제한적이다. 이 총설에서는 은 나노입자(AgNPs),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ellulose nanofibers, CNF) 및 그래핀 옥사이드(graphene oxide, GO)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중심 으로 키토산 기반 복합막의 최근 발전을 살펴본다. 이러한 복합막은 항균 효능, 기계적 내구성 및 조절된 약물 방출을 향상시 켜 막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다기능 막의 물리화학적 특성, 항균 결과, 세포 적합성 및 치료 잠재력을 비판적으로 평가 하여 차세대 상처 드레싱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강조한다.
Chronic wounds, particularly those complicated by multidrug-resistant bacterial infections, represent a persistent challenge in clinical wound management. Chitosan, a naturally derived biopolymer, has attracted attention for its inherent antibacterial activity, biocompatibility, and film-forming properties. However, its standalone use is limited by poor mechanical strength and short-term drug retention. This review discusses recent advances in chitosan-based composite membranes, with a focus on systems incorporating silver nanoparticles (AgNPs), polycaprolactone (PCL), cellulose nanofibers (CNF), and graphene oxide (GO). These composites improve membrane performance by enhancing antimicrobial efficacy, mechanical durability, and controlled drug releas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bacterial outcomes, cytocompatibility,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these multifunctional membranes are critically evaluated, highlighting their promise in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wound dress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