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디지털치료제를 활용한 직업재활 중재가 발달장애인의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고찰 KCI 등재

The Effects of Digital Therapeutic-Based Vocational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on Social Skills i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Systematic Review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7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치료제를 활용한 직업재활 중재가 발달장애인의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 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5년 1월부터 2025년 5월까지 최근 10년 동안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문헌검색 하였다. 국내외 주요 학술 데이터베이스(RISS, KCI, DBpia, Pubmed, EMBASE)를 사용하였으며, PRISMA 가이드라인에 따라 문헌 선정 과정을 거쳐 총 8편의 문헌을 분석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결과 : 디지털치료제를 활용한 직업재활 중재 프로그램 유형에는 면접기술 훈련프로그램(VR-JIT), 직장 가상현실 훈련프 로그램(Workplace VR), 사회성기술 향상 가상현실 프로그램(VRESS), VR 바리스타 프로그램이 있었다. 중재 프로그램 에는 VR 바리스타 훈련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사회기술 효과에는 면접기술 및 자신감, 자기효능감, 높은 수용성과 사 용성, 작업기억 및 계획능력의 상관관계, 의사소통 기술과 수업태도, 직무 수행능력, 직무 지식·기술·태도의 습득에 효 과를 보였다. 결론 : 향후 연구에는 작업치료 관점에서 다양한 디지털치료제 기반 직업재활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는 이러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effect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using digital therapeutics on the social skill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for studi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5 and May 2025 using domestic (RISS, KCI, DBpia) and international (PubMed, EMBASE) databases. Search terms included Korean and English keywords related to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digital therapeutics. Eight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the PRISMA four-step process. Results : Identified interventions included Virtual Reality Job Interview Training (VR-JIT), Workplace VR, Virtual Reality for Enhancing Social Skills (VRESS), and VR-based Barista training. The VR Barista program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 interventions showed positive effects on interview skills, confidence, self-efficacy, usability, working memory, planning ability, communication, classroom behavior, job performance, and the acquisition of job-related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Conclusions : Further research on digital therapeutic-based vocational rehabilitation from a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is needed.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expanding related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문헌검색 및 문헌 선정 기준
    2. 문헌 선정 과정
    3. 연구의 질적 수준
    4. 비뚤림 위험평가
    5.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
Ⅲ. 연구결과
    1. 연구의 질적 수준
    2. 비뚤림 위험평가 결과
    3. 체계적 문헌 고찰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목경림(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부생) | Mog Kyung-Rim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
  • 하명준(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부생) | Ha Myung-J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
  • 최아인(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부생) | Choi Ah-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
  • 최정인(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부생) | Choi Jeong-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
  • 유두한(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 Yoo Doo-H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