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디지털 동적 역량이 양손잡이 경영과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대만 반도체 기업의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KCI 등재

Impact of Digital Dynamic Capabilities on Ambidextrous Management and Corporate Performance: Focusing on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and Taiwanese Semiconductor Compan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9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국제경영연구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한국국제경영학회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초록

최근 반도체 산업은 디지털 전환과 지속가능한 발전 측면에서 글로벌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디지털 동적 역량’과 ‘기업 성과’ 간의 관계에서 ‘양손잡이 경영(탐 색과 활용)’의 매개효과를 포함하여 고찰하고자 했다. 또한, ‘환경의식’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조절 효과도 포함하여,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설문 자료를 기반으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기본적으로 디지털 감지(sensing), 포착 (seizing), 전환(transforming)이라는 ‘디지털 동적 역량’이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 으며, 그 사이의 ‘탐색’과 ‘활용’이라는 ‘양손잡이 경영’이 갖는 매개효과도 검증하였다. 또한, 한국과 대만의 제도 적․문화적 기반이 다른 상황에 있어서, ‘환경의식’과 ‘CSR’의 (국가․제도․문화적 맥락에 따른) 조절효과도 고 찰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디지털 감지, 포착, 전환으로 구성된 디지털 동적 역량은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 모두 유의한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탐색과 활용으로 구성된 ‘양손잡이 경영’은 디지털 동적 역량과 기업 성과 사이에서, 긍정적인 ‘부분 매개(partial mediation)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양손잡이 경영의 전략적 중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CSR과 환경의식은 성과 유형 및 국가에 따라 조절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는 Hofstede (1984)가 제시한 문화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한국은 사회적 신뢰와 이미지 중심의 지속가능 한 전략을, 대만은 효율성과 성과 중심의 전략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추진함에 있어 탐색과 활용의 균형을 갖춘 양손잡이 역량을 강화하고, 국가별 제도 및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CSR 및 지속가능성 전략을 수립할 때, 디지털 역량의 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등 다양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Recently, global competition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has intensified, particularly in term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ocusing on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 Korea and Taiwa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mbidextrous management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ynamic capabilities’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addition,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inclu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For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semiconductor industry workers in Korea and Taiwan,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data. Basically, the impact of ‘digital dynamic capabilities’ such as digital sensing, seizing, and transforming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was consider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mbidextrous management’ such as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was also verified. In addition, in Korea and Taiwan, the moderating effects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SR’ (according to national, institutional, and cultural contexts) were also considered on each country's institutional and cultural context. The findings reveal, first, that digital dynamic capabilities (sensing, seizing, and transforming)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Second, ambidextrous management, composed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capabilities and corporate performance,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strategic execut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CSR and environmental awarenes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performance and national context, which can be interpreted in light of Hofstede's (1984) theory of cultural differences. In particular, Korean firms tend to pursue sustainability strategies centered on social trust and corporate image, whereas Taiwanese firms emphasize efficiency and outcome-driven strategies. This study presents variou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such as strengthening ambidextrous capabilities that balance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promoting digital transformation, and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digital capabilities when establishing CSR and sustainability strategies that take into account institut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2.1 디지털 동적 역량(Digital Dynamic Capability)
    2.2 양손잡이 경영(Ambidextrous Management)
    2.3 지속가능한 성과(Sustainable Performance)
    2.4 환경 의식(Environmental Awareness)
    2.5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Ⅲ. 연구모델과 가설
    3.1 연구모형
    3.2 가설의 설정
Ⅳ. 실증분석
    4.1 샘플 수집
    4.2 변수의 조작적 정의
    4.3 가설 검증
Ⅴ. 결 론
    5.1 이론적 시사점
    5.2 실무적 시사점
    5.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References
<부록 1> Result of Mediator Effects (Korea)
<부록 2> Result of Mediator Effects (Taiwan)
<부록 3> Result of Mediator Effects (Korea)
<부록 4> Result of Mediator Effects (Taiwan)
<부록 5>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Awar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Digital Dynamic Capabilities and Firm Performance (Korea vs. Taiwan)
<부록 6> Moderating Effect of CS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ynamicCapabilities and Firm Performance (Korea vs. Taiwan)
<부록 7> Reliability of Measurement Items (Korea vs. Taiwan)
<부록 8>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Korea)
<부록 9>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Taiwan)
<부록 10>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Korea)
<부록 11>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Taiwan)
Abstract
저자
  • 오계윤(충북대학교 국제경영학과 석사) | Chi Yun Wu
  • 고경일(백석대학교 경상학부 교수) | Kyungil Khoe
  • 정진섭(충북대학교 국제경영학과 교수) | Jin Sup J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