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e/[V]isiting Aging Selves in T. S. Eliot’s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and W. B. Yeats’s “The Tower” KCI 등재

노화하는 자아의 재/조명: T. S. 엘리엇의 J. 앨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 와 W. B. 예이츠의 탑 의 비교 연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The Yeats Journal of Korea (한국 예이츠 저널)
한국예이츠학회 (The Yeats Society of Korea)
초록

본고는 에후드 보드너의 학문적 연구의 틀을 바탕으로 하여 T. S. 엘리 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 (1915)와 W. B. 예이츠의 탑 (1928)에 투영된 노 화와 노화하는 자아를 재/조명한다. 노화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산업혁명 이전의 서구 사회에서 긍정적이었다면, 산업혁명 이후 개인주의 사회에서는 그 시각이 부정적 으로 변화된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두 작품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맥락을 제공한다. 20세기 초 영문학과 노년학을 가로지르는 학제간 연구로서 이 글은 노화를 바라보는 산업혁명 이전과 이후 사이의 변화된 태도를 그 중심부에 위치시켜 엘리엇의 프루프 록 과 예이츠의 탑 에 대한 다시 읽기를 수행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shifts in cultural attitudes towards aging from the positive in pre-industrial to the negative in post-industrial eras in Western individualistic societies and how they are reflected in T. S. Eliot’s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1915) and W. B. Yeats’s “The Tower” (1928). As an interdisciplinary study that interweaves the fields of early twentieth-century poetry with gerontology, this paper rereads Eliot’s “Prufrock” and Yeats’s “Tower” through the lens of Ehud Bodner’s study, which provide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article.

목차
Abstract
우리말 요약
I. Introduction
II. Marginalized in Modern Society: Aging in Eliot’s “Prufrock”
III. The Return of the Traditional Value: Aging in Yeats’s “Tower”
IV. Conclusion
Notes
Works cited
Manuscript peer-review process:
저자
  • Yoo Jin Choi(professor at the Hotel & Tourism Department of Hanyang Women’s University in South Korea) | 최유진 (한양여자대학교 호텔관광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