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울시민의 사회적 신뢰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인간관계 만족과 자아존중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분석 KCI 등재

The Influence of Social Trust on Life Satisfaction among Seoul Citizens : A Sequential Mediation Analysis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Este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신뢰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간관계 만족 과 자아존중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자료는 2022년 4월 13일부터 4월 19일까지 서울시여성가족 재단이 만 19세 이상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수행한 「서울시민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변수에 결측치가 없는 1,984명 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포함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8.0과 PROCESS Macro(Model 6)를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적 신뢰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인간관계 만족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특히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을 가장 강력하게 예 측하는 변수로 확인되었고, 인간관계 만족은 자아존중감과 함께 순차적 매개 경로를 형성하여 사회적 신뢰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설명하였 다. 이러한 결과는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개입 방안으로 서 사회적 신뢰를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관계 만족과 자아존중감 을 촉진하는 통합적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trust and life satisfaction. Data were drawn from the 2022 Seoul Mental Health Survey, conducted by the Seoul Foundation of Women and Family between April 13 and 19, 2022, targeting Seoul residents aged 19 and older. A total of 1,984 responses without missing values on major variabl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8.0 and PROCESS Macro (Model 6). The results revealed that social trus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s indirect effect through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otably, self-esteem emerged 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contributed to a sequential mediating path along with self-esteem, explaining the link between social trust and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integrated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strengthen social trust and, in turn, enhance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esteem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신뢰와 인간관계 만족,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과의 관계
    2. 인간관계 만족과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과의 관계
    3.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
    4. 인간관계 만족,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자료 및 연구대상자
    2. 측정도구
    3. 연구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2.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3. 연구가설 검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
  • 이상미(동양대학교) | Sangmi Lee (Dongy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