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민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대전 시립무용단 <한국춤 선(僊)부채 산조-초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KCI 등재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Civic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 Focusing on the Daejeon Metropolitan Dance Theater's Korean Dance Seon (僊) Fan Sanjo-Chou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와 대전시립무용단 지원사업인 일반시민을 대상 으로 한 시민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한국춤 선(僊)부채 산조-초우)이 인 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 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 시민 75명을 단일집단으로 구성하 여, 총 5주(매회 2시간)동안 시민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24년 7월 22일부터 26일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방법은 단일 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개입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시민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우리춤 선부채 산조)은 일반시민의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과 사회성에 긍정적인 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반시민의 인지 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활성화 방 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ivic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Korean Dance Seon (僊) Fan Sanjo–Chou, supported by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Daejeon Metropolitan Dance Theater, on cognitive and emotional mindfulness, as well as sociality, among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A total of 75 Daejeon citizens participated as a single-group cohort, an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over a five-week period with two-hour sessions each week.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2 to July 26, 2024.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singl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and a paired-sample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ivic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Korean Dance Seon (僊) Fan Sanjo-Chou) had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nts' cognitive and emotional mindfulness, as well as their social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practical and policy-oriented strategies to enhance mindfulness and social engagement through civic culture and art education.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시민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한국춤 선(僊)부채 산조-초우)
    2.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설계 및 자료수집
    3. 측정도구
    4. 시민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5. 자료처리 방법
Ⅳ. 연구결과
    1. 시민문화예술 프로그램(한국춤 선(僊)부채 산조-초우)이 인지적 및정서적 마음챙김에 미치는 효과
    2. 시민문화예술 프로그램(한국춤 선(僊)부채 산조-초우)이 사회성에미치는 효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길태영(중부대학교) | Tae-young Kil (Joongbu University)
  • 김평호(전 대전시립무용단) | pyung-ho Kim (Former Daejeon Municipal Dance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