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텍스트마이닝 기반 스포츠클럽 언론보도 분석 : 정책·제도 현황과 개선 방향 KCI 등재

Text Mining-Based Analysis of Sports Club News Coverage : Policy and Institutional Status and Improvement Strateg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스포츠클럽 관련 언론보도 기사를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정책·제도의 주요 현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 로 정책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텍스톰과 Ucinet 6을 활용하여 2018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공공스포츠클 럽’, ‘등록스포츠클럽’, ‘지정스포츠클럽’ 관련 언론보도 기사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스포츠클럽 정책·제도의 주요 현황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텍스트마이닝, 의미연결망 분석, TF-IDF, CONCOR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스포츠’, ‘클럽’, ‘공공’, ‘선수’, ‘체육’, ‘등록’, ‘시설’, ‘대회’, ‘지정’ 등이 높은 출현 빈도를 나타냈다. 또한, ‘지 역 공공 협력 기반 스포츠클럽’, ‘전문선수 육성을 위한 지정스포츠클럽’, ‘학생 대상 스포츠클럽대회 활성화’, ‘특정 종목에 편중된 전문선수 등록’ 등 총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스포츠클럽의 공공성과 자립성 을 강화하고, 지역 기반의 지속 가능한 운영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역 스포츠 거버넌스 체계 확립, 지역사회 내 스포츠클럽 기능 강화, 등 록스포츠클럽의 제도적 사각지대 해소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uses text mining of news articles on sports clubs to examine policy and institutional issues and suggest improvements. Using Textom and UCINET 6, a total of media report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8 and June 2025 containing the terms "public sports club," "registered sports club," or "designated sports club"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employed frequency analysis, TF-IDF,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CONCOR clustering to extract key terms and identify discourse patterns.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keywords included "sports," "club," "public," "athlete," "physical education," "registration," "facility," "competition," and "designation." Based on CONCOR analysis, four distinct discourse clusters were identified: (1) community-based public cooperation sports clubs, (2) designated sports clubs for elite athlete development, (3) promotion of student-centered sports club competitions, and (4) concentration of elite athlete registration in specific sports disciplines. Therefore, to strengthen sports clubs’ public interest and self-sufficiency and ensure sustainable community-based operations, it is essential to build regional sports governance, enhance community functions, and close institutional gaps for registered clubs.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스포츠클럽 정책 동향 분석을 위한 언론보도의 활용 필요성
    2. 스포츠클럽 활성화 정책의 전개 과정과 주요 특징
    3. 스포츠클럽 제도의 이해: 법적 기반과 운영 특성
    4. 스포츠클럽 관련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자료처리
    3. 자료 분석 절차
Ⅳ. 결과
    1. 스포츠클럽 관련 핵심 키워드 현황
    2. ‘스포츠클럽’ 관련 키워드 의미연결망 및 CONCOR 분석 결과
Ⅴ. 논의
    1. 스포츠도시 관련 핵심 키워드 현황
    2. 스포츠클럽 관련 키워드 네트워크 내 유형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박종철(한국체육대학교) | Jongchul Park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최유리(한국체육대학교) | Youlee Choi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안우진(한국체육대학교) | Woojin A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