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가보훈대상자의 자긍심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 보훈정책서비스 만족도의 조절효과 KCI 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Veterans pride and life satisfaction in moderating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veterans' policy servi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9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보훈대상자가 인식하는 자긍심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보훈정책서비스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1년 실시된 「국가보훈대상자 생활실 태조사」 자료 중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5,92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 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긍심과 보훈정책서 비스 만족도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 보훈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삶의 만족도는 연령, 교육 수준, 보훈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 이를 나타냈다. 둘째, 자긍심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긍심과 보훈정책서비스 만족도 모두 삶의 만 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보훈정책서비스 만족도는 자긍심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상호작용 항 분석을 통해 보훈정책서비스 만족도가 자긍심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 는 긍정적 영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 과는 보훈정책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보훈대상자의 삶의 질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perceived national veterans pride on life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veterans policy services i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data from 5,927 respondents were drawn from the 2021 “Surve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National Merit Recipien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pride and satisfaction with veterans policy service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and veteran type, while life satisfaction also varied based on age, education, and veteran type. Prid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veterans policy services further strengthened this relationship, serving as a significant moderating factor. Interaction analysis confirmed that higher satisfaction with veterans policy services amplifies the positive impact of pride on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veterans policy services and providing customized, user-centered support to enhance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well-being of national veterans.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보훈대상자의 구분과 현황
    2. 국가보훈대상자의 자긍심
    3. 보훈정책서비스 만족도
    4. 국가보훈대상자의 삶의 만족도
    5. 국가보훈대상자의 자긍심, 삶의 만족도와 보훈정책서비스 만족도의 관계
    6. 국가보훈대상자의 자긍심, 삶의 만족도, 보훈정책서비스 만족도에관한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모형
    3. 연구가설
    4. 측정도구
    5. 분석방법
IV. 연구결과
    1. 연구대상의 주요 특성
    2.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3. 주요 변인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4. 주요변인 간 상관관계
    5. 국가보훈대상자의 자긍심, 보훈정책서비스 만족도,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
V. 결과 및 논의
    1. 연구의 요약
    2. 논의
    3.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참고문헌>

저자
  • 김상용(국민대학교) | Sang Yong Kim (Kookmi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