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세계 평화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청소년 통합교육 활성화 방안 KCI 등재

Exploring Strategies for Promoting Integrated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through an Analysis of Global Peace Education Practi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미래 통일시대를 대비하여 세계의 민족 갈등 지역과 한국의 북한이탈 청소년 통합교육 사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교실을 중심으로 한 평화적 통일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북아일랜드의 공유교육 프로그램은 가톨 릭과 개신교 학생들이 공동 수업을 통해 상호 편견을 줄이고 사회 통합 을 촉진하였으며,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Hand in Hand 학교는 유대인 과 아랍인 학생들이 이중언어 교육을 통해 상호 문화적 이해와 편견 감 소에 성과를 보였다. 르완다의 평화교육 프로그램은 집단학살 이후 트라 우마 극복과 사회적 화합을 위해 체험활동 중심의 교육을 시행하여 비폭 력적 갈등해결 역량을 높였다. 한국의 다음학교와 한겨레학교는 남북한 출신 청소년들이 함께 생활하며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심리·정서적 안정 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실제적인 통합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 통합교육 사례는 통합교육이 통일교육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교 사의 전문성 강화, 국가 차원의 법적·제도적 지원, 학부모와 지역사회 참 여 등 교육 전반의 다차원적 협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identifies effective classroom-based strategies for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by comparing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in global conflict regions with South Korea’s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Northern Ireland’s Shared Education reduced prejudice through joint classes between Catholic and Protestant students; Israel-Palestine’s Hand in Hand schools advanced mutual 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bilingual education; and Rwanda’s Peace Education Program emphasized experiential activities for trauma recovery and conflict resolution. South Korea’s Daum School and Hangyeore School foster practical integration by enabling interactions and emotional support among South and North Korean youths. Successful integration into unification education requires enhanced teacher professionalism, national institutional support, and active engagement from parents and local communitie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민족 갈등 지역의 통합교육 사례
    1. 북아일랜드의 공유교육 프로그램
    2.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Hand in Hand 통합학교
    3. 르완다의 평화교육 프로그램
Ⅲ. 한국의 북한이탈청소년 통합교육 사례
    1. 다음학교의 통합교육 운영
    2. 한겨레학교의 통합교육 프로그램
Ⅳ. 세계와 한국 사례의 비교 및 시사점
    1. 해외 평화교육 사례와 한국 통합교육 사례의 비교 분석
    2. 북한이탈청소년 통합교육을 위한 시사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박보람(강원대학교) | Park Bo-ram (Kangwo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