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집단미술치료가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정서표현과 대인관계 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이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정서표현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시의 가정폭력피 해시설에 입소한 여성 6명을 대상으로 2024년 5월 14일에서 6월 11일 까지 주 2회, 회당 120분씩 총 8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 였다. 또한 이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정서표현력검사와 대인관계검 사를 사전, 사후로 실시하여 대응표본 t-test로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집단미술치료가 가정폭력피해여성의 긍정적 정서표현(t =-4.29, p <.01)과 대인관계(t =-6.22, p <.01)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가정폭력피해여성의 효과 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켜 가족관계뿐 아니라 대인관계에서도 긍정 적인 관계를 돕기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시한다는 것 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다양한 지역 과 더 많은 대상으로 범위를 확대한 후속 연구와 함께 프로그램의 지속 성의 확인을 위한 추후 검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women who ar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To this end, a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6 women residing in a domestic violence shelter in City A, from May 14 to June 11, 2024, with a total of 8 sessions held twice a week, each lasting 120 minutes. Additionally, to assess their changes, emotional expression tes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analyzed using a paired sample t-test. The validation results confirmed that group art therapy significantly impacted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t=-4.29, p<.01)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6.22, p<.01) of women who ar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esent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group program aimed at enhancing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mong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to foster positive relationships not only within family relationships but also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5.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정서표현의 변화
    2. 대인관계의 변화
    3. 회기별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과정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
  • 김영아(동아대학교) | Young a Kim (Dong-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