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학연 공동연구 네트워크 분석: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KCI 등재

Network Analysis of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e Collaboration: A Case Study of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1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3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본 연구는 국가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R&D 사업인 소재부품 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산학연 공동연구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고, 각 참여 주체들의 역할과 관계를 규명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2020년~2024년) 수행된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의 공동연구 과제 565건을 대상으로 소셜 네트 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의 공동연구 네트워크는 1,262개 기관과 2,048개 협력관계로 구성된 중심-주변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산학연 협력(49.4%)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전체 네트워크에서 일부 연구 기관이 지식 공급과 확산을, 기업은 주로 지식의 흡수와 통합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를 보였다. 대학은 산업계와 연구계 사이에서 지식의 흐름을 중개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 유형별 분석 결과, 지식의 생산, 통합, 중개 역할을 담당하는 주체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산학연 협력과 산연 협력에서는 공공 연구기관이 지식 생산 및 확산의 중심 주체로 기능하는 반면, 산학 협력에서는 대학과 대기업이 네트워크의 핵심 허브로 작용하고 있다. 산산 협력에서는 소수의 대기업 중심의 위계적 구조가 두드러졌다. 중개 역할 또한 협력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 산학연과 산학 협력에서는 대학이, 산연 협력에서는 전문 연구 기관이, 산산 협력에서는 대기업이 지식 가교로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술 분야별 분석 결과, 전기·전자(33.6%), 기계·소재(27.1%), 화학(20.9%) 분야가 주요 영역으로, 가장 활발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 및 지식서비스 분야는 상대 적으로 작은 규모이지만 높은 네트워크 밀도를 보였다. 기술 분야별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 유형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전통적 제조업 기반 분야(기계·소재, 화학, 전기·전자)에서는 공공 연구기관이, 융합연구 기반 분야(정보통신, 바이오·의료)에서는 기업이 지식 생산을 주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재부품 분야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종합 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분야별 맞춤형 협력 모델 개발, 핵심 연구기관 지원 강화, 중소기업의 네트워크 참여 활성화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e joint research network, focusing on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a key R&D program for enhancing national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and to identify the roles and relationships of each participating entity. To this en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as conducted on 565 joint research projects carried out under the program over a five-year period (2020-2024). The findings show that the joint research network of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has a core-periphery structure consisting of 1,262 institutions and 2,048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e collaboration (49.4%) accounting for the largest proportion. In the entire network, some research institutes showed a structure in which they provided and disseminated knowledge, while companies mainly played a role in absorbing and integrating knowledge. Universities were found to play a key role in mediating the flow of knowledge between industry and research institutes. Analysis by type of collaboration revealed that entities responsible for producing, integrating, and mediating knowledge were clearly distinguished. In the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e collaboration and industry-research institute collaboration, public research institutes function as the central entities of knowledge production and diffusion, while in the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universities and large corporations act as the core hubs of the network. In the industry-industry collaboration, a hierarchical structure centered on a small number of large corporations stands out. The role of intermediaries also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collaboration, with universities functioning as knowledge bridges in the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e and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industry-research institute collaboration, and large corporations in the industry-industry collabor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technology field showed that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33.6%), machinery and materials (27.1%), and chemistry (20.9%) fields were the main areas of collaboration, showing the most active research partnership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knowledge service fields showed a relatively small size but high network densit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institutions that play a leading role by technology field, with public research institutes leading knowledge production in traditional manufacturing-based fields (machinery and materials, chemistry, electricity and electronics), and corporations leading in convergence research-based field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io and medicine).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e collaboration network in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field, and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such as developing customized collaboration models by field, strengthening support for key research institutes, and activating network particip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산학연 협력
    2. 공동연구 네트워크
    3. 소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Ⅲ.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자료
    2. 분석 방법 및 데이터의 구성
Ⅳ. 분석 결과
    1. 기초 통계 분석 결과
    2. 전체 네트워크 분석 결과
    3. 협력유형별 네트워크 분석 결과
    4. 기술 분야별 네트워크 분석 결과
Ⅴ.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2. 연구의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저자
  • 선보영(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과 박사과정) | Boyoung Seon
  • 이상곤(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과 교수) | Sang Kon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