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건강교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실천적 이론가로서 교사의 역할을 기대하며-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2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주 5일제 수업에 대비한 교육과정의 개정을 준비하는 시점에서 건강교과교육의 이론과 실제라는 주제는 지난 특수학교 건강교과의 모습을 되돌아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론과 실제’라는 용어는 대학의 강좌명칭이나 교재의 제목으로 자주 접하게 되고, 대학의 목표나 학과의 목표 진술의 문구에도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 친숙한 주제이긴 하지만 글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 주춤거려야 했다. 건강교과교육의 이론은 무엇이며, 교육의 실제는 무엇인가? 예비교사들이 교생을 다녀와서 이론과 실제는 매우 달랐다며 당혹스러움을 표현하고 현장교사들은 현장경험이 최고의 교육이라며 대학의 교사교육을 조소한다. 재교육을 받는 교사들은 이론과 실제의 괴리에 불평하며 교과 수업현장에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론을 달라고 아우성이다. 우리가 당연하게 그리고 아주 친숙하게 여겼던 문구, ‘이론과 실제’는 어떤 아니 분명히 상당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것임에 틀림없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이론과 실제’에 대한 문제를 밝히기 위하여 다음의 절차로 원고를 전개해나가려 한다. 첫째, 현행 건강교과의 현 주소를 살펴본다. 둘째, 현행 건강교과 교육의 이론적 기초가 되고 있는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살펴본다. 셋째, 이론을 수업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교량역할을 할 수 있는 적합화이론/모형(adaptation theory/model)이론을 통해 아동들의 다양한 개인차와 요구를 만족시키는 효율적인 수업을 위한 방안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론과 실제의 격차를 해소하는 실천적 이론가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저자
  • 이인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