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건설표준품셈 개정에 따른 공동주택 식재공사 중 탄소배출 변화와 준공 후 탄소중립 효과 KCI 등재

Changes in Carbon Emissions during Apartment Planting Construction due to Revision of Construction Standard Production Unit and Effect of Carbon Neutrality after Comple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5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공동주택 내 수목의 탄소중립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는 의사결정도구를 활용하 여 식재공사 건설기준 개정에 따른 탄소 배출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동시에 준공 후 수목들의 탄소 저장, 연간 탄소 흡수량, 20년 후 탄소 흡수량을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식재공사 건설기준은 탄소 배출 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정되고 있었다. 준공 20년 후 수목들의 탄소 흡수량은 식재공사 단계에서 배출된 탄소의 2배의 양을 상쇄하였다. 구체적으로 중·소규격의 수목들이 탄소 배출 저감과 흡수 증가에 효과 적이었다. 한편 소나무는 20년 후에도 탄소를 상쇄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남겼다. 첫째, 식재공사 기준은 기계 시공량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둘 째, 식재공사에 고연비 굴삭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소규격의 수목을 중심으로 한 식재 전략 이 요구된다. 넷째, 탄소 성능 높은 수종으로 소나무를 대체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carbon neutrality effect of trees in apartments. To this end, we used decision-making tools to analyze changes in carbon emissions due to revisions to construction standards for planting works. In addition, the carbon storage of trees after completion, the annual carbon absorption amount and carbon absorptio n after 20 years wer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struction standards for planting works were being revis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carbon emissions. Twenty years after completion, the amount of carbon absorbed by trees offset twice the amount of carbon emitted during the planting process. Specifically, small to medium sized trees were effective in reducing carbon emissions and increasing absorption. Meanwhile, pine trees were unable to offset carbon even after 20 yea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First, the planting construction standards will have to be revised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amount of machinery construc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use fuel-efficient excavators for planting work. Third, a planting strategy centered on small to medium sized trees is required. Fourth, pine trees should be replac ed with tree species with high carbon performance.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의 범위
    2.2 의사결정 지원도구를 활용한 식재공사 탄소 배출 및흡수량 산정
3. 결과 및 고찰
    3.1 대지의 조경에서 식재공사 중 탄소 배출량
    3.2 대지의 조경에서 수목의 탄소 흡수량
    3.3 조경공사 표준과 탄소 정책의 디커플링
    3.4 대지의 조경에서 탄소중립에 대한 시사점
4.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근호(영남대학교 조경학과) | Keunho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ersity)
  • 오창송(국립순천대학교 조경학전공) | Changsong Oh (Major in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