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하여 도시림의 방문특성을 분석하고, 도시림의 양적 수준, 접근성, 관리수준, 도시림의 기능 등이 도시림의 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시민들은 1년에 한 번 이상(30.8%)이상 가족(41.4%)이나 친구/동료(39.4%)와 함께 주로 자동차(50.7%)를 이용해 도시림을 방문하며, 체재시간은 2-6시간 정도(52.8%)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림이 대부분 도시외곽지역에 분포하기 때문에 자동차를 통해 방문하며, 체재시간이 다소 긴 것으로 해석된다. 도시림 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도시림의 기능(건강증진)에 대한 평가값(3.91)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도시림이 가지는 물리적·환경적·휴양적 기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는 방문의사는 도시림의 관리수준(0.463), 건강증진 기능(0.416), 정서적 안정감(0.414), 도시림의 양적수준(0.407)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림 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접근성(0.322), 도시림의 관리수준(0.188), 양적 수준(0.124) 순으로 방문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림의 기능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환경적 기능(0.324), 조절적 기능(0.246), 휴양적 기능(0.199)의 순으로 방문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생활권 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시림의 확보와 유지관리가 중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최근 도시 환경문제의 악화와 함께 도시림의 환경적 기능이 도시림 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도시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인 도시림의 방문특성과 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구명하고, 도시림이 가지는 환경적 기능, 휴양적 기능, 조절적 기능을 수요자 측면에서 평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 연구와 달리, 도시림 방문의사를 통해 도시림을 평가했으며, 도시림의 방문의사와 도시림의 양적 수준, 접근성, 관리수준, 도시림의 기능 간의 관계를 구명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4,200원
        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세계적으로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s:PM)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영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정책을 바탕으로 커뮤니티가 주도하는 활성화된 PM저감형 가든 조성 및 관리를 통해 PM저감에 기여하고 있다. 이에 대한 연구는 국내 PM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 주도 PM저감형 가든에 대한 영국 런던의 사례 분석과 경영 구조에 대한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커뮤니티 참여를 통한 PM저감형 가든 조성 및 운영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체계적인 분석, 고찰 및 시사점 도출을 위해, Place-keeping 분석 틀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적극적인 거버넌스를 강조하는 지방정부의 정책적 가이드라인이 PM저감을 위한 구심점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통한 파트너십, 커뮤니티에 의한 추가적인 재원 마련, 정기적인 모니터링, 장기적 관점에서의 관리가 동시에 적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M저감형 커뮤니티 가든은 적극적 거버넌스 개념 도입을 통한 지속 가능한 자립형 경영 구조를 강조하는 바이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Place-keeping의 여섯 가지 개념을 적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책은 커뮤니티 참여 활성화를 강조하는 실현 가능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적극적 거버넌스 개념을 촉진하기 위해 커뮤니티의 의사결정 참여를 위한 기회 제공을 의무화해야 한다. 셋째, 추가적인 재원 마련을 위해 민간 및 비지니스 분야와 같은 외부 자금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 넷째, PM저감 쟁점에 대해 일반 국민이 책임을 공유해야 한다. 다섯째, 커뮤니티 주도 PM모니터링 확대와 대학과 같은 잠재적인 이해관계자들의 PM모니터링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여섯째, 저관리형 PM저감 식재를 통해 재원 및 인력 부족에 대한 한계점을 최소화하여 장기적인 유지관리 구조를 조성해야 한다. 이와 같은 시사점의 반영은 추후, 공동체 의식의 증가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PM저감형 커뮤니티 가든의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PM저감형 커뮤니티 가든의 긍정성이 국내 PM문제 해결을 위한 매개체가 되기를 기대한다.
        4,600원
        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도시공원의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미래에 요구되는 도시공원의 유형 및 조성방향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공원의 조성·이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대구시 도시공원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구시민과 전문가 1,509명을 대상으로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적 통계분석, χ² 검정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산책을 목적으로 주거지에서 가장 가까운 공원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계절은 주로 봄철, 방문시간대는 저녁이며, 도보를 통해 주로 방문하는 특성을 보인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시설은 산책로, 휴양시설 등로 현재 조성된 도시공원은 시민들의 가벼운 산책, 휴식 등의 정적 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미래의 도시공원 조성방향에 대한 분석결과, 중요한 도시공원 유형으로는 ‘소공원’, 가장 시급하게 조성해야 할 공원 유형으로는 ‘주택지 주변 미조성 근린공원’으로 나타나 일상생활권 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도시공원에 대한 중요성과 시급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대구를 상징하는 공원 유형으로는 ‘문화공원과 근린공원’으로 나타나 대구의 문화적 특징을 활용한 문화공원 즉, 주제공원 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요자의 관점에서 도시공원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향후 필요한 도시공원 유형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도시공원 조성방향에 있어 공원유형만 다루고 있어, 향후 도시공원이 담아야 할 구체적인 콘텐츠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arious pilotis ar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high rise buildings. Strong winds can generate sudden airflow around the pilotis, which can cause unexpected internal airflow changes and may cause damage to the exterior of the piloti ceil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peak wind pressure coefficient for the design of piloti ceiling exteriors by conducting wind pressure tests on high rise buildings equipped with penetration-type and end-type pilotis in urban and suburban areas. The minimum peak wind pressure coefficient for penetration-type piloti ceilings ranges from –2.0 to -3.3. Minimum peak wind pressure coefficient in urban areas was 30% larger than in suburban areas. In end-type piloti ceilings, maximum peak wind-pressure coefficient ranges from 0.5 to 1.9, and minimum peak wind-pressure coefficient ranges from – 1.3 to -3.6. With changes in building height, peak wind pressure coefficient decreases as the aspect ratio increases. Peak wind-pressure coefficient increases with taller pilotis. On the other hand, when piloti height decreases, the absolute value of the minimum peak wind pressure coefficient increases.
        4,000원
        5.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는 많은 환경문제를 야기하였고 특히 아고산식물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아 고산식물종의 생활사 파악과 온·습도의 자료 구축은 아고산식물종의 보전전략 수립에 매우 유용할 것 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야산국립공원의 아고산지대에 자생하는 솔나리, 설앵초, 기생꽃, 개회향 및 금강애기나리 등 5종을 대상으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개화, 낙화시기 모니터링 조사와 및 온·습도변화는 개화, 낙화시작시기를 기준으로 각각 20일간 조사하여 개화와 온·습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아고산지역의 생물기후학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변수들에 대한 신뢰도 검정결과, Cronbach Alpha 값은 0.741로 신뢰성이 높았다. 각 식물종의 개화시기 분석결 과 솔나리 평균 7월 23일(SD=6.5), 설앵초 평균 5월 8일(SD=8.7), 기생꽃 평균 6월 1일(SD=2.8), 개 회향 평균 8월 16일(SD=4.3) 및 금강애기나리 평균 5월 22일(SD=5.1)로 나타났다. 개화기간은 기상요 소 간의 상관관계에서 모두 정(+)의 관계를 보였으며, 일최고온도와 일평균온도의 상관계수가 각각 0.711, 0.613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식물종의 생활사를 파악하기에 기상자료만으로 분석 하였으나 해발고도에 따른 상관성을 비롯하여, 사면, 향 및 미기후 등 다양한 환경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어 향후 아고산지역 식물종을 모니터링 할 때 기초자료를 더욱 축적 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4,200원
        6.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2013년 경남 농촌현장포럼 마을들을 대상으로 색깔마을 유형과 농촌어메니티자원에 따 라 마을유형을 분류하고 농촌현장포럼 효과를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을유형별 현장포 럼 효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색깔마을 1유형과 하위 30% 마을은 기초인프라와 주민역량강화형, 색깔마 을 2유형과 중위 40% 마을은 체험관광과 2차 산업화형, 색깔마을 3유형과 상위 30% 마을은 체험관광 과 6차 산업화형으로 재유형화 하였다. 또한, 설정된 유형에 따라 앞으로 농촌현장포럼과 마을발전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4,000원
        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경관향상을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산시를 대상으로 시민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 다. 설문 구성은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경산시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성별, 연령, 거주기간 등에 관한 3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경관 인식에 관한 설문으로는 경관이 과거보다 좋아진 이유 또는 나빠진 이유, 경관의 개선방안에 관한 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경산시의 경관이 좋아진 이유로는 ‘하천이 정비되어서’가 24.3%로 가장 높 았고, ‘도심가로가 정비되어서’가 22%로 다음으로 빈도가 높았다. 경산시의 경관이 나빠진 이유로는 ‘도심가로가 복잡 하게 되어서’가 25.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고층건물 및 아파트 건설’ 17.3%의 빈도로 나타났다. 시민들은 경관 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하천 등을 정비(26.8%)’하고, ‘가로수 및 간판 정비 등 가로경관 개선(21.8%)’을 우선적 개 선 방안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 행정중심의 하천 및 도심가로 정비가 도시경관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더 많은 공원녹지 조성, 기존 공원 및 광장 정비, 산림보호 강화 등과 같이 도시의 녹지가 도시경관향상과 깊은 관계성을 가지고 있음을 이 연구결과에서 시사하고 있다.
        4,000원
        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산시에 위치한 저수지를 대상으로 귀화식물의 현황 특징을 파악하여 적절한 미래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산시 일대의 저수지 식물현황 분석결과 62과 126속 148종 13변종 2품종으로 전체 16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9과 19속 22종 1변종으로 총 23분류군을 확인하였다. 23분류군 중 원산지는 북아메리카가 15분류군, 유럽이 5분류군, 아프리카가 2분류군, 아시아가 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율은 12.2%이며, 도시화지수는 2.1%이다. 이 결과는 Go(1995)이 제시한 우리나라 평균 귀화율 10.3%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대상지에서 나타난 저수지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귀화도가 4등급이상인 14분류군(소리쟁이, 콩다닥냉이, 토끼풀, 달맞이꽃, 서양민들레, 개망초,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큰비짜루국화, 미국가막사리, 가시상추, 미국개기장)등 을 중점적인 관리대상으로 선정하여 적절한 관리방안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100원
        9.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경산시 보호수의 환경분석, 보호관리 및 활용 실태 등의 조사 분석을 통한 합리적인 관리 및 활용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조사한 결과를 보면 경산시가 지정한 41개소에 보호수 55주가 있고 총 종수는 8종이며, 수종으로는 회화나무 (30.9%)와 느티나무 (23.6%)순으로 가장 많았다. 보호수의 유형으로는 당산목이 45.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풍치목이 36.7%를 차지하였다. 200년~300년 사이의 보호수가 21주로 전체 38.2%를 차지하였고, 수고는 15 ~ 20 m 사이의 보호수가 경산시 보호수의 54.6%를 차지하였다. 보호수의 입지 유형을 보면 마을형이 3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도로변형이 19.5%로 많았다. 식재유형은 독립수가 전체 보호수의 78%를 차지하였다. 보호수의 근원부는 나지상태가 58.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쇄석 및 자갈이 19.5%를 차지하였다. 토양경도는 평균 9.64 mm로 나타났고 보호책은 9곳에 설치가 되어있고 석축이 있는 곳은 22개소로 전체 53.7%로 조사되었다. 외과수술을 받은 보호수는 38주로 전체 70.9%를 차지하였고 표지석은 보호수 전체의 80.5%인 33개소에 설치되어 있었다. 쉼터로 이용되고 있는 곳은 13곳으로 전체 31.7%를 차지하였고 시설물은 주로 정자, 의자, 간단한 체육시설, 야외테이블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 기존쉼터를 정비하거나 보호수 주변을 정비해서 소규모 공원화가 될 수 있는 지역을 제시하였다. 향후 농촌지역 공원녹지 공간 확보 및 지역민의 공동체회복을 위한 보호수 주변 소공원 조성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크다고 사료된다.
        4,800원
        10.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 연안역의 부영양화 상태 및 종속영양세균에 의한 유기물질 분해능을 조사하기 위해서 대진, 갈남, 포항, 울산의 4개 지역의 연안역을 대상으로 1994년 7월부터 1995년 4월까지 4회에 걸쳐 종속영양세균군집, 오염의 신호화합물, 세균의 생산력, 종속영양활성도 및 세포외 효소활성도 등을 분석하였다. 중금속내성균의 수는 포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종 유기인을 이용하는 세균군집을 조사한 결과 유기인(C-P)화합물이 많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는 산
        4,200원
        11.
        1998.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석영을 기판으로 사용하여 텅스텐 실리사이드 게이트를 고온에서 결정화시키고, 이? 발생되는 crack 에 대한 생성원인을 조사하였다. 증착된 텅스텐실리사이드의 실리콘 조성과 실리콘 완층충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열응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며, 과잉의 실리콘 조성을 가진 실리사이드를 열처리한 경우에는 crack에 대한 저항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리콘 완충층을 사용한 경우는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열응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crack이 보다 쉽게 발생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실리사이드 반응에 의하여 거칠어진 계면에 응력이 집중되어 crack생성을 쉽게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석영과 텅스텐실리사이드의 열?창계수차이에 의하여 생성되는 열응력이 crack생성의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실리콘 완층층을 사용한 구조하에서는 계면에서 일어나는 실리사이드반응이 crack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2.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fter it was reorganized as the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recently, there is an opinion that the nature of the project was changed to solve long-time aspired projects of some districts unlike various projects according to the previous project purpos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revitalization project plans and operation monitoring to make rural center villages, establishes pla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ural center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 and suggests the improvement plans for monitoring. With the necessity of connectivity with centrality analysis for long-term and sustainable growth of the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the analysis on the 8 districts' centrality analysis and the function of the master plan were compared and analyzed, but there is not enough interrelation. Regarding the consulting methods for weak districts to activate facility operation after the project is implemented, the field consulting performed by the collaboration of Gyeongsangnam-do government, Gyeongnam Rural Revitalization Support Center and Gyeongnam branch of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shows 87.6% of satisfaction level, which indicates it is the most effectiv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methods on resident demand survey, dimension and the reflection process of the project when preliminary plans are established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rural center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 It is also necessary to revise relevant standards not to change preliminary plans excessively during the master plan establishment process, and to oblige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experts. The joint monitoring and consulting systems of expert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pplied from the establishment stage of the master plan, so that it can be sustainable rural center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
        13.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범정부적으로 2016년부터 유기성 폐수슬러지 해양배출이 전면 금지되고 육상처리를 권장하고 있어 주로 산업체에서 배출하는 폐수슬러지 육상처리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슬러지 처리의 어려움으로 산업체의 경쟁력을 저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폐수 및 일부 하수슬러지에는 다양한 중금속과 미생물 분해가 어려운 유기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기존 기술로 처리가 곤란한 실정이다. 육상처리 기술 중에서 비용이 저렴한 방법은 주로 매립에 준하는 것이므로 슬러지에 포함된 유기물에 의해 지구온난화지수(GWP)가 이산화탄소보다 21배 높은 메탄을 다량 배출하고 있으며, 중금속에 의한 지하수와 토양 오염이 우려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금속 함유 산업슬러지를 건조 후 용융로에서 보조연료와 열분해 가스로 1,500℃이상의 고온 화염을 형성하여 폐수슬러지에 포함된 회분과 중금속을 용융 슬래그로 배출․유리화함으로써 분진 발생 감소와 회분에 포함된 중금속성분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 폐수슬러지를 용융하기 위하여 용융로 및 2차버너를 제작하여 용융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열 회수 장치를 설치하여 열 회수 실험 또한 수행하였다.
        1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pare an revitalization plan of region where rural development project is comple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facility operation and maintenance in the region where the project is completed. The results of survey of actual condition of facility operation in the region where rural development project was completed showed that the facilities were not self-sufficient in terms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 Therefore, a prerequisite to the revitalization of region where the project is completed is to prepare an alternative plan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applicability of currently already prepared facilities. Second, a project operation organization system should be streamlined and the competency of operation personnel should continue to be strengthened.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upport system and establish cooperation networks for increasing the extensibility of project and continuing to induce community revitalization in the region where the project is completed in the futur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