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전주시민의 역사와 정체성이 깃든 전주종합경기장을 대상으로 해당 공간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문화, 경제, 체육 등 다양한 기능이 융합된 시민 중심의 복합공간으로 재생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지 및 인근 지역의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을 분석하고 시민 설문조사, 시민참여단 활동,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재생 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전주종합경기장의 재생 기본계획은 기존 시설의 재생 및 존치를 통한 집단적 기억 보존 과 함께 ‘시민의 숲’, ‘정원의 숲’, ‘예술의 숲’, ‘놀이의 숲’, ‘미식의 숲’, ‘마이스의 숲’ 등 총 6개의 테마 공간 도입을 핵심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시민휴식, 문화 체험, 가족 단위 놀이, 청년창업 지원 및 마이스 산업 활성화 등 구체적인 기능 수행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근 주요 도로와 교차 로의 서비스 수준 분석을 바탕으로 지하 주차장, 지하차도, 대중교통 환승 센터 등의 교통 개선 대안 을 마련하여 대상지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재생 기본계획은 전주시의 대표 공공 공간으로서 전주종합경기장의 역사적 자산과 도시 정체성을 계승하며, 시민 복지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도시 재생 모델로서 향후 구체적 실행 및 정책 보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resents a basic plan for the redevelopment of the Jeonju Sports Complex—a space imbued with the history and identity of Jeonju’s citizens—with the goal of transforming it into a multifunctional, citizen-centered public space that preserves its historical value while integrating cultural, economic, and sports functions. To achieve thi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human environment within the study area and its surroundings was conducted. In addition, diverse perspectives were gathered through citizen surveys, participatory activities, and expert consultations to establish a clear direction for the redevelopment. The study reveals that the proposed redevelopment plan is anchored in two main strategies: the preservation of collective memory through the regeneration and retention of existing facilities, and the introduction of six thematic zones—forest of garden, forest of art, forest of play, forest of gastronomy, forest of MICE—that are designed to fulfill specific functions such as providing spaces for relaxation, cultural experiences, family-oriented recreation, youth entrepreneurship support, and MICE industry activation. Moreover, based on an analysis of the service levels of nearby major roads and intersections, practical measures—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underground parking, underpasses, and transit hubs—were proposed to enhance accessibility to the site. The basic plan outlin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model that not only preserves the historical assets and urban identity of Jeonju but also contributes to citizen welfare and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forming a solid foundation for future implementation and policy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