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경시공 전문가의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하천 유지관리 환경단체가 참여하는 통합적 관리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 현이재드 국라내인 을하 천수 립관하리고는 지홍역수사 방회지 와및 기외반 하시천설 관 유리지 정에책 중 분점석을, 두수고원 시있 으4대며 하, 생천태의 복 현원장과 조 여사가, 주기민능 이인 식충 분평히가 를고려 통되해지 주 않요고 문 있제다점. 을본 도연출구하는였 국다내. 분생태석적 결 고과려 하가천 미 유흡지한관 것리으의로 거 나버타넌났스다가. 분이산에되 따어라 있 본어 연 일구관에성서이는 부종족합하적고인 유하지천보 유수지 방관식리의 전 차략이을로 제 안인한해 다를. 보 첫존째해, 생야태 한적다 접. 둘근째 방, 식지을역 사도회입 하참여여 를자 연활형성 화호하안여 복 자원원, 식봉생사 관 기리반 조의절 하, 천최 소모한니의터 링준 설프을로 그통램해을 수 운생영태하계 고수질 지 모역니 주터민링과, G이IS해 공관간계 자분석 간 등 협을력 도을입 강함화으할로 필써요 유가지 있관다리.의 셋 효째율, 스성마과트 의 기사술결을정 의활 용정하확여성 을드 론높,여 Io야T 한기다반. 또유지한관 본리 연 가구이에드서라는인 주을기 개적발인하 청였소다,. 정식책생적 관 개리선, 준을설 위 규해정 중, 앙시정설부물와 유 지지방보자수치 등단을체 ,포 시함민한단 표체준가화 협된력 하하는천 거실버현넌함스으 로체써계 도를시 구 축하하천고의 유지속지가관능리 성프과로 회세복스력를을 통 향합상하시여킬 효 율수성 있을을 제 것고으할로 필 기요대가된 있다.다 향. 이후러 연한구 전에략서을는 다양한 하천 환경에서 본 연구의 가이드라인을 적용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stablishes sustainable river maintenance guidelines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construction experts and proposes an integrated management approach involving local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organizations. Current river management in Korea primarily focuses on flood control and infrastructure maintenance, often neglecting ecological restoration and recreational functions. Through an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field surveys of Suwon’s four major rivers, and public perception assessments, this study identifies key issues such as fragmented governance, inconsistent maintenance practices, and insufficient ecological consider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 comprehensive river maintenance strategy is proposed. First, an ecological approach emphasizing natural riverbank restoration, controlled vegetation management, and minimal dredging should be implemented to preserve aquatic ecosystems. Second, community participation should be encouraged through volunteer monitoring programs and local stakeholder collaboration. Third, smart technologies, including drones, IoT-based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GIS spatial analysis, should be adopted to enhance efficiency and decision-making. Additionally, a standardized river maintenance guideline has been developed, covering periodic cleaning, vegetation control, dredging regulations, and infrastructure maintenance.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e establishing a governance framework that integrate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gencies with civil organizations to improve coordination and efficiency. Implementing these strategies is expected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of urban rivers, ensuring they fulfill both functional and ecological role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pilot projects applying these guidelines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in different river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