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치매 가족 돌봄자의 대처전략이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후보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f dementia family caregivers on life str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6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자연치유재활복지융합연구(구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Rehabilitation Welfare Convergence Study)
초록

본 연구는 치매 가족 돌봄자의 대처전략이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거주하는 치매 가족 돌봄자 287명이며, 2025년 6월 1일부터 7월 30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 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내면적 대처전략 중 ‘문제해결에 대한 확신’은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낮추는 반면, ‘가족수동성’은 오히려 스트레스를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외면적 대처전략에서는 ‘종교적 지지’가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반면, ‘지역사회서비스’와 ‘친구 지지’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 는 기존 연구들이 주로 대처전략의 긍정적 효과만 강조해온 것 과 달리, 특정 전략이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처전략의 유형에 따른 이질 적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치매 가족 돌봄자의 스트레스 관리와 정신적 안정성 지원을 위한 제도적·사회적 개입 설계에 기초자료 를 제공하는 학문적·실천적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f dementia family caregivers on life stress, highlighting differential impacts across strategy types. A total of 287 caregivers living in S city participated in a survey conducted from June 1 to July 30, 2025.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5.0. Results showed that, among internal coping strategies, “confidence in problem- solving” significantly reduced stress, while “family passivity” increased stress. In external strategies, “religious support” elevated stress, whereas “community services” and “friend support” alleviated it. Unlike prior studies that mainly emphasized the positive effects of coping,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ertain strategies may have adverse impacts. These findings provid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identifying heterogeneous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and offering evidencebased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and social interventions to support caregivers’ stress management and mental stability.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선행연구 고찰
    1.3 연구의 목적
    1.4 연구의 의의
2. Theoretical Background
    2.1 치매 가족 돌봄자의 생활 스트레스
    2.2 대처전략의 개념과 유형
    2.3 치매 가족 돌봄자의 대처전략과 생활 스트레스의 관계
3. Method of research
    3.1 연구 모형
    3.2 연구 문제 및 가설
    3.3 연구 대상
    3.4 윤리적 고려
    3.5 측정 변수
    3.6 자료의 분석방법
4. Results of the study
    4.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2 요인분석
    4.3 측정변수의 기술통계
    4.4 측정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4.5 내면적 대처전략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4.6 외면적 대처전략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5. Discussion & Conclusion
    5.1 연구 결과 요약
    5.2 논의
6. 결론 및 정책 제언
References
저자
  • 임기란(Seojeong University, 27, Seojeong-ro, Eunhyeon-myeon, Yangju-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 Kiran L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