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tological Individuality and Meaning of Suffering: an Intertextual Reading of Park Wansuh’s Please Say Something and My Last Possession
이 논문은 박완서의 한 말씀만 하소서와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을 함께 읽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고통의 의미에 대한 통찰을 논한다. 이 두 작품 은 장르의 차이로 인해 같이 연구된 사례가 많지 않다.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 서 먼저 이 두 작품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특히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을 정치의 맥락에서만 읽는 연구의 한계를 지적한다. 이어서 자기 서사 이론 논 의를 통하여 이 두 서사는 박완서의 경험을 대변하는 자기 서사적 이야기로 함 께 논할 수 있음을 논증한다. 이어지는 작품 분석에서는, 두 작품이 가지는 차이 에도 불구하고, 존재론적으로 고통의 의미는 개별적으로 찾아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서로 만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두 서사는, 고통하는 타자들에 대한 박 완서의 공감이 표면적 동질성과 연대를 넘어 더 깊은 차원을 건드리고 있으며, 그 차원은 바로 누구나 당하는 일인 동시에 “철저하게 개개의 것”인 존재론적 차원의 문제임을 보여준다. 고통의 이야기는 공유될 수 있으나, 그 의미는 개개 인이 찾을 수밖에 없으며, 이는 개별 인간 고유성의 필연적 결과이다. 이 두 서 사를 함께 읽음으로써 우리는 박완서가 정치적 노력을 무의미하게 만들지 않으 면서 존재론적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reads Park Wansuh’s Please Say Something and My Last Possession together to retrace the meaning of the suffering Park explored in the two narratives. Using the theories of self-narrative, I argue that both narratives can be read as representing Park’s own suffering of losing her son. I show how these two narratives meet at the ontological level of individuality where each individual has to find their own meaning of suffering. Thus, Park’s empathy for the suffering of others goes beyond mere sharing of experiences and even political solidarity to reach a deeper, more fundamental level of ontological space where the core thing we share is the common fate of mortality. Ultimately, through these two narratives, Park creates a space for suffering in which individuals may find their own meaning without forsaking the cause of poli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