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sis of Wintering Home Range of Whooper Swans (Cygnus cygnu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Using GNSS Tracking KCI 등재

GNSS 위치추적을 통한 큰고니(Cygnus cygnus)의 낙동강 하구에서의 월동 행동권 분석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8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GNSS 기반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큰고니(Cygnus cygnus) 12개체를 대상으로 2024년 12월부터 2025년 3월까지 낙동강 하구에서의 월동 행동권 및 북상 전 내륙 이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총 21,721개의 유효 좌표 데이터를 활용하여 Minimum Convex Polygon(MCP) 및 Kernel Density Estimation(KDE) 분석을 수행하였고, 월별 공간 이용 및 핵심 서식지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전체 평균 행동권 면적은 MCP 기준 113.38±251.36 ㎢, KDE 95% 기준 39.55±71.30 ㎢, KDE 50% 기준 7.21±12.19 ㎢로 나타났으며, 낙동강 하구 내 자료만 적용시 평균 면적은 각각 25.99 ㎢ (MCP), 12.72 ㎢ (KDE 95%), 2.81 ㎢ (KDE 50%)로 감소하였다. 대부분 개체는 을숙도, 맥도생태공원, 삼락생태공 원 및 백합등 등 특정 지역을 집중 이용하며 높은 서식지 충성도를 보였고, 일부 개체는 3월 중 주남저수지(창원), 해평천(구미) 등으로 단기 내륙 이동으로 북상 전 에너지 확보 또는 탐색 활동을 수행하였다. 특히, 2~3월에는 공간 이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었고 핵심 서식지는 을숙도에서 맥도생태공원으로 이동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낙동강 하구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EAAF) 상의 핵심 월동지이자 중간기착지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실증하였 고 서식지 보호, 먹이 제공 정책, HPAI 대응 등 실질적인 보전 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wintering habitat and pre-migratory inland movement of 12 whooper swans (Cygnus cygnus) equipped with a GNSS-based positioning tracker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from December 2024 to March 2025. Minimum Convex Polygon (MCP) and 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21,721 valid coordinate data to examine monthly spatial use and changes in core habitat areas. The average home range sizes were 113.38±251.36 ㎢ (MCP), 39.55±71.30 ㎢ (KDE 95%), and 7.21±12.19 ㎢ (KDE 50%), which reduced to 25.99 ㎢ (MCP), 12.72 ㎢ (KDE 95%), and 2.81 ㎢ (KDE 50%) when considering only data within the estuary. Most individuals exhibited high site fidelity (i.e., concentrated wintering activity), repeatedly using limited areas such as Eulsukdo, Maekdo and Samnak Ecological Parks, and Baekhapdeung. In March, some individuals dispersed inland to Junam Reservoir (Changwon) and Haepyeong Stream (Gumi) for short stopovers to secure energy replenishment or conduct exploratory activities before migration. Spatial use gradually expanded from February to March, and the core habitat shift from Eulsukdo to Maekdo Ecological Park was observed.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dual role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s a key wintering and staging site along the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EAAF), and provide scientific evidence for developing effective conservation strategies, including habitat protection, food provisioning, and avian influenza risk management

목차
ABSTRACT
요 약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1. Study Area
    2. Monitoring
    3. Device Development and Tracking Summary
RESULTS
    1. Movement within wintering areas
    2. Home range analysis
    3. Seasonal trends in wintering population size (October2024 – April 2025)
Discus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
  • Young-Hwa Shin(국립과천과학관 자연생명팀 연구사, 제주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부 박사과정) | 신영화
  • Joon-Woo Lee(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교수) | 이준우
  • Woon-Kee Paek(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교수) | 백운기
  • Dal-Ho Kim(한국환경생태연구소 책임연구원) | 김달호
  • Hong-Shik Oh(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교수) | 오홍식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