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라이다 및 주제정보를 활용한 멸종위기 식물 생육지 보전순위 결정 - 한라산 백록담에 생육하는 암매를 중심으로 - KCI 등재

Determining Conservation Priorities for Endangered Plant Habitats Using ALS LiDAR and Thematic Information - Focusing on Dispensia lapponica varb obovate Living in Baengnokdam on Mt. Halla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8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멸종위기 야생식물종은 다양한 환경 요인과 인위적 간섭으로 인하여 이미 다수의 종이 멸종되었으며, 현재 잔존하고 있는 야생식물종 또한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멸종위기 야생식물종의 보전방안 수립을 위해서는 자생에 영향을 주는 각종 요인에 대한 데이터 취득이 필수적이며, 현장의 상황을 명확하게 반영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라산 백록담 일대의 253개의 암매(Dispensia lapponica varb obovate) 생육지를 대상으로 하여 보전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GIS 기반 분석 방법을 정립하였다. 데이터 분석에는 항공라이다(ALS:Airborne laser scanning) 데이터, 드론 영상, 각종 공공 주제정보를 이용하였으며, 암매의 생존에 영향을 주는 3개의 지형요소와 5개의 환경요소 및 재해위험성인자 로 구성되는 총 9개 인자에 대한 독립적인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암매 생육지에 대한 보전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한 인자별 현황 데이터는 관련 전문가 3인의 자문을 받아 결정한 암매 생존에 영향을 주는 각종 인자들에 대한 경중률을 적용하여 경중률 기반 정량평가(Weighted Scoring Model, WSM)를 통해 점수화하 였으며 최종적으로 253개의 암매 생육지에 대한 보전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립한 9개 인자와 경중률을 이용하여 GIS 분석을 통해 한라산 백록담 암매를 대상으로 보전우선순위를 결정한 결과, 다량의 개체가 분포하고 있는 북측 및 북서측 사면 중 북측 사면에 위치하고 있는 암매 생육지 중 다량의 생육지가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암매 생육지가 유사한 위험점수 및 보전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지형 특성이 암매의 자생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성과는 기존의 현장조사 방식에 서는 접근하기 어려운 지형에 위치한 고산지대 멸종위기 식물 생육지에 대해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를 통해 정립된 항공 및 드론라이다와 같은 고품질 공간정보와 관련 주제정보를 융합하여 GIS 기반 방법론은 접근이 어려운 멸종위기 식물군에 대해 식물종의 보전을 위한 고정밀 자료를 제공함으로서, 멸종위기 식물의 보전계획에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Endangered wild plant species have already become extinct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anthropogenic interference, and the remaining wild plant species are also under threat. To establish conservation measures for endangered wild plant species, it is essential to obtain data on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ir natural habitat, and the on-site conditions must be accurately reflect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GIS-based analysis method to determine conservation priorities for 253 Dispensia lapponica varb obovate habitats around Baengnokdam Crater of M t. Halla.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irborne laser scanning (ALS) data, drone images, and public thematic information.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conservation priorities for Dispensia lapponica var. obovata habitats by applying an independent analysis method to nine factors consisting of three topographical factors, five environmental factors, and a disaster risk factor that affect the survival of the species. The analyzed factor-by-factor status data was scored through a weighted scoring model (WSM) based on the weighting ratio of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survival of Dispensia lapponica varb obovate, which was determined after consulting with three relevant experts, and the conservation priority for 253 species’ habitats was finally determined. Using the nine factors and their respective weights in a GIS-based analysis, we assessed the conservation priorities of Dispensia lapponica var. obovate habitats around Baengnokdam Crater on Mt. Halla. The results showe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high-risk habitats were clustered on the northern slopes, particularly among the densely populated areas on the northern and northwestern slopes. Furthermore, multiple adjacent habitats of Dispensia lapponica var. obovata exhibited similar risk scores and conservation priorities, indicating tha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pecies' natural habita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applicability to high-altitude endangered plant habitats in terrain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using conventional field survey methods. By integrating high-quality spatial data, such as aerial and drone LiDAR, with relevant thematic information, the GIS-based methodolog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developing conservation strategies for threatened flora by providing high-precision data for the conservation of hard-to-access endangered plant specie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 방법
    1. 연구대상지 현황 및 암매 특성
    2. 데이터 취득 및 수집
결과
    1. 암매 생육지 군락별 3차원 좌표 및 면적 결정
    2. 디지털트윈 DB 기반 암매 생육지 9개 인자에 대한 GIS분석
    3. WSM 기반의 한라산 백록담 암매 생육지 군락별 보전우선순위 결정
고찰
감사의글
REFERENCES
저자
  • 박상인(상지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 Sang-In Park (Maser degree, Dept. of Civi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Sangji University, Woosan 26339 , Korea)
  • 이병두(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서식지보전팀 선임연구원) | Byoung-Doo Lee (Habitat Conservation Team, Research Center for Endangered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Yeongyang 36531, Korea)
  • 이현직(상지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 Hyun-Jik Lee (Professor,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Woosan 26339,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