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리산국립공원 화엄사 사찰림의 100여 년간 식생 변화 분석 KCI 등재

A Century of Vegetation Change in the Hwaeomsa Temple Forest of Jirisan Nation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8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1915년 조선총독부의 「지리산 식물조사 보고서」 식생분포도와 2018년 국립공원공단 정밀식생도를 비교· 분석하여, 지리산국립공원 화엄사 사찰림의 약 100년간 식생 변화 양상을 규명했다. 1915년의 식생분포도를 QGIS 3.22를 활용해 디지털화한 후, 식생 유형별 면적과 공간 분포를 정량화하고, 이를 2018년 자료와 중첩하여 변화 양상을 비교했다. 분석 결과, 1915년 당시 소나무림이 전체 면적의 58.38%로 가장 우세했으며, 활엽수림(29.53%)과 초지 (11.04%)가 뒤를 이었다. 반면, 2018년에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개서어나무 등 낙엽활엽수 중심의 혼효림이 확장되었 다. 특히 과거 소나무림의 약 65%가 활엽수림으로 바뀌었고, 초지 또한 교목성 수종 우점림으로 변화했다. 고도별로는 해발 400m 이하에서는 소나무림이 여전히 광범위하게 유지되었으며, 400∽900m 구간은 활엽수종 중심의 혼효림으로 전환이 가장 활발히 진행되었다. 900m 이상의 고지대는 신갈나무 중심의 낙엽활엽수림이 과거와 현재 모두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온대림에서 약 100년간의 장기 식생천이와 생태계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vegetation changes in the Hwaeomsa Temple forest in Jirisan National Park over the past 100 years by comparing the vegetation map of the "Jirisan Botanical Survey Report"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15 and the detailed vegetation map of the National Park Service in 2018. The 1915 vegetation map was digitized using QGIS 3.22 to quantify each vegetation type's area and spatial distribution. It was then overlaid and compared with the 2018 detailed vegetation map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The analysis showed that pine forests were the most dominant with 58.38% of the total area, followed by broad-leaved forests (29.53%) and grasslands (11.04%) in 1915. By 2018, mixed deciduous forests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Q. serrata, and Carpinus tschonoskii had significantly expanded. Specifically, about 65% of the former pine forests have been transitioned into broad-leaved forests, while grasslands were largely converted into forests dominated by canopy tree species. The elevation-based analysis revealed that pine forests remained dominant below 400 m above sea level, while the most active transitions to mixed deciduous forests occurred between 400 and 900 m. Above 900 m, forests dominated by Q. mongolica maintained stable conditions in the past and present. This research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or long-term vegetation succession changes in a temperate forest ecosystem over approximately one century.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범위 및 개황
    2. 현존식생 변화 분석
결과
고찰
REFERENCES
저자
  • 정태준(모두를위한생태연구소 소장) | Tae-Jun Jung (Ecological Institute for All, Gurye, Korea)
  • 박석곤(국립순천대학교 조경학전공 교수) | Seok-Gon Park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Sunchon National Univ., Sunchoen 57922,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