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음악과 새 교육과정(7∼10학년)의 특징과 의의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8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초․중등학교 교육의 방향과 실천 내용을 제시하는 학교 교육 지침서로, 국가 차원에서 지향하는 교육의 이념과 교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인간상, 이러한 인간상의 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교육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제시해놓은 것이다. 음악과 교육과정 또한 학교 음악 교육이 지향하는 기본 철학과 목표, 그리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시키기 위한 음악 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의 내용들을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서이다.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은 일반적으로 국가․사회적 변화 및 아동의 발달, 학문의 발달 등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우리나라의 국가․사회 및 산업 구조의 발달과 이에 따른 학문의 발달과 분화, 생성,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받는 학습자들의 요구는 국가 교육과정이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주며, 나아가 그러한 변화를 예측하여 준비할 수 있는 선도자로서의 역할까지 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시대적 변화를 읽고, 학문적 발달과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이를 음악과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이론 및 현장 연구를 7차 교육과정 고시 이후 지속해왔으며(성경희 외, 2005; 박순경 외, 2004; 이경언, 2004; 성경희 외, 2003; 양종모․이경언, 2001) 이를 통해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을 설정하게 되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 문서 구성 체제를 체계화하고, 그 내용을 명료하게 제시한다. 교육과정은 국가 교육의 지침서로, 시․도 및 학교의 교육과정 작성과 실행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구성 체제와 내용을 명료하고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그 의미를 분명하게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의 양이 많다거나 수준이 높다는 문제는 교육과정 현장 적용 연구를 통해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문제이다. 구체적으로 수업 시수, 학생들의 요구와 수준의 반영 등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한 적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국악교육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국악교육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기 시작한 6차 교육과정부터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국악교육의 양적 팽창은 꾸준히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현장에서 국악을 다루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많다는 토로가 있었다. 이에 내용, 방법, 평가 등 교육과정 전반에서 국악교육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주어야 한다. 넷째, 학교 음악교육을 통해 습득한 내용을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학생들이 음악을 가까이 하고, 빈번하게 활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음악들의 대부분은 학교에서 배운 음악과는 거리가 멀다. 학교에서 음악을 배우는 목적은 학교에서의 평가를 위해서가 아니라 음악 활동을 통해 교양인으로서의 자질과 인성을 키워주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용과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에서 제시한 방향에 따라 새 교육과정을 위한 개정 작업을 하였다. 다음 장에서는 각각의 개정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특징과 의의를 제시하도록 한다.

저자
  • 이경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