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취학 전 영유아 시력검진 항목의 한계와 국제 가이드라인 비교
목적 : 국내 취학 전 영유아 시력검진 제도의 구조적 한계를 규명하고, 국제 가이드라인과의 비교를 통해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보건복지부 고시, 국민건강보험공단 매뉴얼,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등 국내 제도 자료 및 실태조사 보고서를 검토하였고, USPSTF, AAPOS/AAO PPP, UK NSC, 호주 StEPS, WHO 및 비교 연구를 고 찰하였다. 결과 : 해외는 Hirschberg, cover/uncover, Bruckner, 입체시, 단안 시력 등 표준화된 항목과 36개월 미만 기기 기반 검사를 포함한다. 반면 국내는 문진·관찰 위주로 표준화와 통일된 의뢰 기준이 부족해 약시·사시의 조 기 발견에 한계가 있으며, 안경사의 제도적 참여가 배제되어 전문성 활용이 제한된다. 결론 : 48–60개월 단안 시력의 표준화와 함께 Hirschberg, cover/uncover, Bruckner, 입체시 검사를 도입하 고, 36개월 미만 기기 기반 검사를 확대하며, 전국 단일 의뢰 기준과 품질보증(QA)·폐루프 관리체계를 확립하고, 안경사의 제도적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이러한 제도적 개선은 시력검진의 정확도를 제고하고 국민 보건 향상에 기 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tructural limitations of preschool vision screening in Korea and to propose improvements by comparing them with international guidelines. Methods : Domestic source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gulation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manuals, the Medical Service Act, the Medical Technologists Act) and national survey reports were reviewed. International guidelines and reports from USPSTF, AAPOS/AAO PPP, UK NSC, StEPS (Australia), WHO, and comparative studies were analyzed. Results : Internationally, standardized items—Hirschberg, cover/uncover, Bruckner, stereopsis, and monocular acuity—are included, with instrument-based screening for children <36 months. In contrast, Korea relies mainly on interviews and observation, lacking standardized protocols and unified referral criteria, limiting early detection of amblyopia and strabismus. Optometrists are institutionally excluded, constraining use of professional expertise. Conclusion : Internationally, standardized items—Hirschberg, cover/uncover, Bruckner, stereopsis, and monocular acuity—are included, with instrument-based screening for children <36 months. In contrast, Korea relies mainly on interviews and observation, lacking standardized protocols and unified referral criteria, limiting early detection of amblyopia and strabismus. Optometrists are institutionally excluded, constraining use of professional expert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