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eramic Sculpture of Abandoned Animals Using the Doucai Technique
본 연구는 두채(斗彩) 기법을 매개로 하여 유기동물 주제를 도자 조형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을 분석하였다. 먼저 유기동물 의 개념과 발생 현황 및 정책 동향을 정리하고, 동물 형상이 지닌 상징성과 예술적 기능을 검토하였다. 이어 명대와 청대에 정립된 두채의 공정인 청화 선묘, 고온 소성, 저온 채색 재소성 과 조형적 특성을 정리한 뒤, 이를 현대 직품 창작의 맥락에서 확장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유기동물이 돌봄 체계 밖에서 환경 위험과 보호소 수용 한계를 드러내며, 유기라는 행위를 통해 사회적 책임 윤리를 환기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방법적으로는 문헌 및 정책 자료 검토와 함께, 연구자 작품을 포함한 사례에 대해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형식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두채는 선과 색이 중층적으로 결합되어 입체감과 서정성을 부여하며, 동물 형상의 생명성과 윤리적 의미를 설득력 있게 드러내는 데 유효한 조형 표현 언어로 확인되었다. 또한 연 구자 작품 분석을 통하여 두채가 장식과 형태를 분리하지 않는 복합 미감을 구현하고, 사회적 이슈인 유기, 공존 윤리 등의 사 회적 이슈를 공론화하는 연결 통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전통 기법인 두채 기법을 동시대 주제와 연결 하는 구체적 적용 사례로서, 설치미술 등 파생 영역으로의 활 용 가능성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유기동물 문제의 사회적 의 미를 도자 조형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두채 기법의 현대적 확장 방향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향후에는 작품의 반응을 조사하여 메세지 전달 효과를 확인 하고, 안료와 유약의 조합과 소성 등 공정 변수에 따른 표현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methods of visualizing the theme of abandoned animals through ceramic modeling, using the doucai(斗 彩) technique as a medium. First, it reviews the concept, occurrence, and policy trends surrounding abandoned animals, and examines the symbolic and artistic functions of animal imagery. It then outlines the processes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doucai established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such as cobalt-blue sketching, high-temperature firing, and low-temperature overglaze painting—and explores ways to extend these into the context of contemporary cre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at abandoned animals expose environmental risks and the limits of shelter capacity outside established care systems, while the very act of “abandonment” recalls the ethical responsibilities of society. Methodologically, it combines a review of literature and policy materials with formal analysis of selected cases, including the researcher’s own works, focusing on their interactive dimensions. The analysis confirms that doucai, with its multilayered interplay of line and color, effectively provides a modeling language that conveys the vitality and ethical significance of animal forms with persuasive force. Furthermore, through the researcher’s works, it was found that doucai achieves a composite aesthetic in which decoration and form are inseparable, and functions as a channel to publicize social issues such as abandonment and the ethics of coexistence. This approach serves as a concrete application case of connecting traditional techniques with contemporary themes, while also suggesting the potential of extension into derivative fields such as installation art. The study thus proposes a method of visualizing the social significance of abandoned animal issues through ceramic modeling and discusses the contemporary expansion of the doucai technique. Future research should investigate audience responses to assess the communicative effectiveness of such works, as well as compare differences in expression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pigment combinations, glazing, and firing proc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