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문초연(虎門銷煙)은 중국 근대사의 중대한 역사적 사건으 로서, 중국인의 애국 의식을 일깨우고 중화 민족의 존엄과 이 익을 수호하였기에 모든 중국인이 마음에 새겨야 할 가치가 있 는 사건이다. 중국 창작 뮤지컬 <호문초연(虎門銷煙)>은 바로 이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창작 및 각색되었으며, 임칙서(林則 徐)가 아편을 소각할 방법을 찾던 중 주인공 아충(阿忠) 및 수 많은 백성들과의 감정적 교류를 통해 최종적으로 아편을 성공 적으로 소각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장사지인(將死之人)> 은 극 중 주인공 아충(阿忠)의 대표적인 가창곡으로, 이 작품은 심오하고 애절한 음악적 선율과 복잡하고 다변적인 조식 리듬 을 통해 평범한 영웅으로서 주인공 아충(阿忠)이 죽음을 앞둔 순간의 내면 독백과, 나아가 국가의 강대함과 안전을 위해 기 꺼이 헌신하려는 애국주의 정신, 그리고 강렬한 국가 정체성과 불굴의 민족 정신을 표현하고 있다. 본 논문은 뮤지컬 <호문초 연(虎門銷煙)>의 주인공 아충(阿忠)의 대표적인 가창곡 <장사 지인(將死之人)>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극 전체의 창작 배경 과 인물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 후, 가창곡의 악곡 형식 구조, 선율 형태, 가사 측면에서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고, 필자 자 신의 가창 실천 및 공연 경험과 결합하여 호흡의 운용, 발음 처리, 혼성 가창의 세 가지 측면에서 가창 기교를 분석하며, 가 창 정서 및 감정 처리, 역할 설정 및 무대 공연 등과 결합하여 극 중 인물의 감정 표현을 파악함으로써 해당 작품을 더 잘 연 기하기 위한 일정한 이론적 지지와 학술적 참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Destruction of Opium at Humen" (虎門銷煙) stands as a pivotal event in modern Chinese history, awakening patriotic consciousness among the Chinese people and safeguarding the dignity and interests of the Chinese nation. The original Chinese musical "Destruction of Opium at Humen" is set against this historical backdrop, creatively adapting the story of Lin Zexu's search for a way to destroy opium. Through his emotional interactions with the protagonist Achong (阿忠) and countless ordinary citizens, Lin ultimately succeeds in burning the opium. "A Man Facing Death" (將死之人) is the representative solo of Achong, the protagonist, and is characterized by its profound and poignant melody, as well as its complex and varied rhythmic structure. The song expresses Achong's inner monologue as an ordinary hero facing death, his willingness to dedicate himself to the strength and security of the nation, and the powerful sense of national identity and indomitable spirit of the Chinese people. This paper takes "A Man Facing Death" as its research subject, first briefly outlining the creative background and characters of the musical. It then analyz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ng in terms of its formal structure, melodic patterns, and lyrics. Drawing on the author's own vocal practice and performance experience, the paper further examines vocal techniques from three perspectives: breath control, articulation, and mixed-voice singing. In addition, it explores emotional expression, character portrayal, and stage performance, aiming to provide theoretical support and scholarly reference for a deeper interpretation and more effective performance of this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