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입시컨설팅사교육 서비스 상품의 수요실태 분석

An Analysis of Demand for Admissions Consulting Private Tutoring Servi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8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사교육연구 (The Journal of Private Tutoring Research)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The Korea Association of Private Tutoring Study)
초록

연구는 입시컨설팅사교육 수요 실태를 참여현황, 참여수요, 지출비용수요로 구분하고, 참여수요 및 지출비용수요에 영 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 지역 고등학생 및 재 수생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146의 응답을 바탕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OLS 회귀 분석으로 양적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입시컨설팅사교육 참여자의 월평균 이용 횟수는 1.13회, 월평균 지출비용은 382,638.8원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실시한 회귀분석에서는, 가정배경 요인(교육특구 거주 여부, 부모의 소득 및 학력 등) 이 참여 여부와 비용 지출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작용하였다. 반면, 학생 특성 요인(진로 불안, 학업 성취도 등)은 주로 참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교육특구 거주 여부는 참여와 지출 양 측면에 서 가장 강한 설명력을 지닌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는 입시컨설팅사교육이 새로운 교육 불평등의 매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득 수준별 맞춤형 정책 지원과 공공 입시컨설팅 서비스의 도입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주요 연구 결론을 종합해보면, 첫째, 입시컨설팅사교육으로 발생된 교육의 불평등 문제는 가정배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 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육의 기회 균등을 증대시킬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요자의 입시정보 의 장벽을 더 낮출 필요가 있다. 셋째, 입시컨설팅사교육의 수요와 지출 수준은 학년 및 전형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 므로,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시기별 맞춤형 공공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demand for admissions consulting private tutoring services, categorizing it into participation status, participation demand, and expenditure demand, an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key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demand and expenditure deman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high school students and repeat test-taker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yielding a total of 1,146 responses. Based on this dat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OLS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monthly frequency of service use among participants was 1.13 times, and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was 382,638.8 KRW. The regression analysis further revealed that family background factors (such as residence in a privileged educational district, parental income, and educational attain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participation and expenditure. In contrast, student-related factors (such as career uncertainty and academic achievement) primarily affected participation status. In particular, residence in an educationally privileged district emerged as the most powerful explanatory variable for both participation and expenditure, indicating that admissions consulting private tutoring may function as a new mediator of educational inequal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income-based customized policy support and the introduction of public admissions consulting services. The main conclus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inequality generated by admissions consulting private tutoring is closely linked to family background, highlighting the need for policies that enhanc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Second, barriers to access to admissions-related information should be reduced for students. Third, since demand and expenditure levels differ markedly by grade level and type of admissions track, public support must be designed from a life-cycle perspective, offering tailored interventions at specific stages.

목차
< 국문초록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입시컨설팅사교육의 실태 및 시장 규모
    2. 입시컨설팅사교육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 절차
    2. 조사도구
    3.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4. 변수 설정
    5.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입시컨설팅사교육 참여현황
    2. 참여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지출비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참여수요와 지출비용수요에 대한 분석 결과 종합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Abstract >
저자
  • 김대준(가천대학교 겸임교수) | Kim Dae-jun (Gacho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