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Private Tutoring Supply Markets and Supply Management Policy Trends
본 연구는 국내외 사교육 공급시장 및 공급관리 정책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사교육 현상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제공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사교육 문제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공급시장의 건실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보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외 사교육 공급시장(국가별 시장규모 및 성장률, 유형 및 유형별 특징) 및 사교육 공급시장 관리 방안과 정책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 시장 규모 및 성장률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전반적으로 증가추세이고,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하여 더욱 커졌으며, 소득 및 외부환경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비탄력적인 양상을 보인다. 둘째, 사교육 공급시장의 유형은 개인과외, 사교육센터 (학원), 온라인 사교육, 학습지 사교육, 학교교사 사교육, 진로·진학·학습컨설팅 사교육 등이 대표적이고, 공급자 간 경쟁 과 사회변화에 부응하면서 세분화되었다. 사교육 유형별 특징은 운영과 교육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차이가 있지만, 모두 공통적으로 개인 맞춤형 교육을 지향한다. 셋째, 사교육 공급시장 관리 정책은 사교육에 대한 인식과 공급자에 대한 규 제 정도에 따라 촉진적 접근, 자유방임적 접근, 제도적 접근, 통제적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교육에 대한 논란은 증 가 추세이지만, 정책으로 사교육시장 규모나 사교육 문제를 경감한 나라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사교육 공급시장 관리 정 책은 단순한 규제나 문제 완화 중심에서 벗어나, 사교육 문제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공급자의 건실한 경영을 유도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of private tutoring by examining trends in the domestic and foreign private tutoring supply market and their supply management policy trends.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se domestic and foreign private tutoring supply markets were analyzed in terms of sizes and annual growth rates of private tutoring market by each country,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rivate tutoring, and then response measures and policy trends for private tutoring supply market management were analyzed as well.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izes and growth rates of the private tutoring markets were indicated to be generally increasing in most countries, to have grown rather mor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o be an inelastic pattern being hardly affected by each income and external environment. Second, the types of private tutoring supply market are representative, such as private lesson, private tutoring centers(academy), online private tutoring, workbook private tutoring, school teacher private tutoring, career·entrance·learning consulting private tutoring, and have been segmented in response to competition among suppliers and social changes. While private tutoring types vary in their operational methods and delivery of educational services, they share a common characteristic in pursuing individualize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Third, the policy to manage the private tutoring supply market differs depending on government's perspective on private tutoring as well as the degree of regulation on suppliers and can be divided into a facilitating approach, a laissez-faire approach, an institutional approach, and a controlling approach. Controversy over private education is on the rise, but no country has reduced the size of the private tutoring market or the problem of private tutoring through policies. In conclusion, the private education supply market management policy needs to shift away from simple regulations or problem mitigation and toward preemptively prevent private tutoring problems and sound management of suppli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