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MRI 관련 종사자 안전 가이드라인 및 개선 필요성에 대한 연구
자기공명영상(MRI)은 고해상도 연조직 진단을 위한 필수 영상기술로 자리 잡았으나, 다양한 비전리방사선 요소인 정자기장, 고주파 에너지, 경사 자기장 등으로 인해 의료종사자의 직업적 노출과 환자의 안전의 체계적 관리가 요구 된다. 본 연구는 국내 MRI 환경의 안전관리 현황을 검토하고, 국제 가이드라인(미국 FDA, ICNIRP, ACR, IEC, EU 등) 간의 비교를 통해 국내 제도적 기준의 한계와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직업적 노출 증상, 소음 스트 레스, 임플란트 관련 기기 적합성 문제, 교육 및 사고 예방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방사 선사의 작업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리학적 반응과 기기 상호작용과 관련해 선행 연구 결과를 통합하여 임상 현장 에서 적용할 수 있는 안전관리체계 수립의 근거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MRI 안전 가이드라인 및 직업적 노출 표준화 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has become an essential imaging modality for high-resolution soft tissue diagnosis. However, due to exposure to various non-ionizing radiation sources including static magnetic fields, radiofrequency (RF) energy, and gradient magnetic field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occupational exposure among healthcare workers and patient safety.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MRI safety management practices in Korea and evaluates their limitations by comparing them with international guidelines established by institutions such as the FDA, ICNIRP, ACR, IEC, and the EU. Key issues explored include occupational symptoms, acoustic noise-induced stress, implant and device compatibility concerns,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accident prevention programs. By synthesizing prior research on physiological responses and device interactions experienced by radiological technologists in clinical settings, this review presents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establishing applicable and practical MRI safety systems. The findings may serve as a basis for futur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RI safety guidelines and occupational exposure regulation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