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f Education Service Companies and Educationa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Meaning of Work
본 연구는 교육서비스 기업에 종사하는 강사를 대상으로 교육조직 시민행동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전 문직업적 정체성 및 일의 의미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교습학원 과 기타 교육기관에 소속된 강사를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을 시행하였고, 총 39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모형에 대한 적합도가 모두 양 호하게 나타나 각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타당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강사의 교 육조직 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전문직업적 정체성, 그리고 일의 의미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 간의 관계 또한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일의 의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일의 의미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교육조직 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일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서비 스 조직 내 시민행동 증진을 위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educationa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OCB),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meaning of work, targeting instructors employed in education service companies. A total of 391 responses were collected through both online and offline surveys from instructors affiliated with private academie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s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sed structural model demonstrated a good overall model fit, indicating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eco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meaning of work were all found to have a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instructors' educationa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oreover,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CS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meaning of work, while professional identity had a direct effect on instructors’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work. Fin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meaning of 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EOCB were confirm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ithin education service organization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