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지코칭에 참여한 경력 교사의 코칭역량 발달에 관한 연구 KCI 등재

Development of Coaching Competencies of Experienc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ognitive Coach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4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인지코칭에 참여한 경력 교사의 코칭 경험이 코칭역량으로 발달하 는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고, 이것이 그들의 전문성 발달, 자기성찰, 그리고 학 교 공동체를 위한 헌신 의지로 이어지는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자는 G교육청 소속 네 개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8명을 대상으로 약 2년에 걸쳐 사례 연구 를 수행하였다. 계속적 비교 방법에 따라 반복적인 코딩 과정을 거친 결과, 세 가지 핵심 코칭역량으로 ‘코칭 대화 역량’, ‘코칭 관계 역량’, ‘내면 성찰 역량’을 도출하고, 전문성 발달 모형 단계 중 Dreyfus와 Dreyfus(1980)의 5단계, Ennis(2008)의 7단계, Rousse와 Dreyfus(2021)의 6단계를 차용하여 코칭역량의 6단계 발달 과정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여섯 단계 중 초보자, 능숙한 초보자, 초보 실천가에 해당하는 초기 세 단계의 발달 양상이 확인되었다. 경력 교사의 코칭역량 발달 과정은 전환학습적 특성을 나타냈으며, 이는 교사가 자기 수업과 교사로서의 역할 정체성을 재해석하고 회복 및 전환을 이루는 자기 주도적 전문 성 발달로 이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교사 개인의 성장과 전문성 발달뿐만 아니 라 학교 조직의 문화 변화를 촉진하는 교사 교육의 실천적 대안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explores how experienced teachers’ participation in cognitive coaching led to the development of coaching competencies, professional growth, self-reflection, and commitment to the school community. A two-year case study of eigh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at four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G Office of Education, identified three core competencies (Coaching Conversation, Coaching Relationship, and Inner Reflection) through iterative coding and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pplying the Dreyfus mod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study outlined a six-stage progression and confirmed the first three: novice, experienced beginner, and beginning practitioner. The process reflected transformative learning, enabling teachers to reinterpret their practices and professional identities, achieving both recovery and transformation. This transformation offers a meaningful approach to teacher education, fostering both individual growth and cultural change within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인지코칭
    2. 인지코칭의 코칭역량
    3. 인지코칭의 교사전문성 발달
Ⅲ.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3. 자료수집과 분석
Ⅳ. 연구결과
    1. 경험에서 나타난 코칭역량의 발현
    2. 코칭역량의 발달 과정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미라(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교육방법 전공 박사졸업, 필봉초등학교 교감) | Kim Mi-ra (Vice-Principal of Pilbong Elementary School)
  • 김평국(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Kim Pyeong-gook (Professor of Department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